"미국이 경기 침체 빠지면 다른 나라 증시에 실질적 위험" 경고

미 경제 전문지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이날 “뉴욕 증시 투자금이 다른 나라로 이동하고 있고, 일부 신흥국 증시가 뉴욕 증시를 앞지르고 있다”면서 “그렇지만 미국의 경기 둔화가 글로벌 증시에 위험을 초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일부 투자자들이 뉴욕 증시를 떠나 다른 나라 증시에 투자해 이득을 보고 있지만, 이들이 장기적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을지는 미국 경제의 향후 진로에 달려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주에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로 S&P500지수는 4%가 하락했고, 나스닥 지수는 올해 들어 8%가 내려갔다. 그러나 범유럽 지수인 STOXX 500 지수는 올해 10.4%가 올랐다. 홍콩 항셍지수는 올해 20%가 뛰었고, 중국 CSI 300 지수도 2%가 올랐다.
골드만삭스는 투자 메모에서 “유럽과 신흥국의 증시가 뉴욕 증시를 앞서가는 성적을 거둔 것은 이례적인 일이지만, 뉴욕 증시와 다른 나라 증시의 디커플링에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은행은 “미국의 경제 활동이 둔화하고, 경제 성장률이 지속해서 내려가 미국이 실제로 경기 침체 위기에 빠지면 다른 나라 증시에도 이것이 ‘실질적 위험’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골드만삭스는 “미국이 심한 감기에 걸려 재정 상황이 악화하면 높아진 위험이 글로벌 시장으로 전이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RBC캐피털마켓츠가 올해 S&P500 연말 마감가 목표치를 6600에서 6200으로 내렸다. 골드만삭스, 야데니리서치에 이어 올해 들어 월가의 주요 기관 중 세 번째로 목표가를 내렸다.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