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일 이틀간 총 10만주 매각해 196억원 현금화...연말까지 최대 600만주 매각 계획
이미지 확대보기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2.6% 상승한 주당 147.90달러로 마감해 지난 1월 기록한 종가 기준 최고치(149.43달러)에 바짝 다가섰다.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공시 자료에서 황 CEO가 지난 20일과 23일 이틀에 걸쳐 총 10만 주의 회사 주식을 매도해 약 1440만 달러(약 196억 원)를 현금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자사 주식 매도는 황 CEO가 지난 3월에 채택하고 지난 분기 보고서에서 공개한 새로운 '10b5-1' 매도 계획에 따른 것이다.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황 CEO는 약 1260억 달러(약 171조 원) 규모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엔비디아 주식으로 구성돼 있다. 황 CEO는 지금까지 총 19억 달러(약 2조5800억 원)어치 이상의 회사 주식을 매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23일 종가인 주당 144.17달러 기준으로 황 CEO가 연말까지 매각할 수 있는 주식 가치는 총 약 8억6500만 달러에 달한다. 같은 날 제출된 또 다른 공시 자료에 따르면 황 CEO는 조만간 추가로 5만 주를 매각할 예정으로 확인됐다.
억만장자이자 엔비디아 이사회 이사인 마크 스티븐스도 회사 주식을 매각하고 있다. 별도 제출된 공시에 따르면 그는 지난 18일 하루 동안 60만 주 이상의 회사 주식을 매각해 약 8800만 달러(약 1200억 원)를 확보했다.
앞서 스티븐스 이사는 이달 초 최대 400만 주의 회사 주식을 매각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한 뒤 현재까지 200만 주 이상을 처분했다.
엔비디아 주가는 지난 5월 말 회계연도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뚜렷한 상승세다. 당시 엔비디아는 최대 시장 중 하나인 중국에 대한 새로운 수출 제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월가의 기대치를 웃도는 매출을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입증했다.
주가는 올해 1월 사상 최고치 경신 이후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저가 AI 모델 출시로 AI 칩 수요 둔화 우려가 불거지며 급락하는 등 한동안 부침을 겪었다. 지난 4월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율 관세를 발표하자 주가는 또다시 출렁거렸다.
그렇지만 1분기 실적 발표 전인 5월,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UAE)와 수십만 개 규모의 AI 칩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엔비디아 주가는 상승 기세를 다시 회복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특징주] 영원무역, 7.27% 급등 52주 신고가...NH투자증권 "목표...](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484205141edf69f862c118235146.jpg)
![[KRX 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1g당 19만800원 마감](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1816051909874edf69f862c1182351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