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제조업 유치와 국가안보를 명분으로 내세운 것으로 제약업계와 가구업계, 소비자 물가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고 로이터통신이 26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저녁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새로운 관세 부과 방안을 공개했다. 그는 이 글에서 “브랜드 의약품 및 특허 의약품 수입에는 100% 관세를, 대형 트럭에는 25%, 싱크대와 세면대에는 50%, 일부 가구류에는 30%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조치는 해외에서 대량으로 유입되는 제품들이 미국 제조업을 잠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트럭 산업은 국가안보 차원에서 지켜야 할 전략 산업”이라며 미국 내 제조업체 보호 필요성을 강조했다.
관세 부과를 앞두고 업계와 무역 파트너국들의 반발도 거세다. 미국 상공회의소는 “대형 트럭의 주요 수입국은 멕시코, 캐나다, 일본, 독일, 핀란드 등 동맹국”이라며 새로운 관세에 반대 입장을 밝혔다.
멕시코 정부도 자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트럭의 절반 이상이 미국산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며 불합리하다고 반발했다. 일본 자동차공업협회 역시 미국 현지 생산 확대를 이미 추진 중이라며 추가 관세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특히 제약업계의 우려가 크다. 미국제약협회는 올해 초 “미국에서 소비되는 의약품 원재료의 53%는 미국 내에서, 나머지는 주로 유럽 등 동맹국에서 생산된다”며 신규 고율 관세가 공급망 혼란과 약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제조업 보호라는 정치적 목표에는 부합할 수 있으나 결과적으로 소비자 물가를 자극하고 국제 무역 마찰을 확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