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의약품 100% 관세’ 발표…전문가들 “가격 인상·혼란 불가피”

글로벌이코노믹

트럼프 ‘의약품 100% 관세’ 발표…전문가들 “가격 인상·혼란 불가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5일(현지시각)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외국산 의약품 관련 글. 사진=트루스소셜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5일(현지시각)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외국산 의약품 관련 글. 사진=트루스소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브랜드의 의약품에 대해 다음달 1일(이하 현지시각)부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의약품 가격과 공급에 큰 혼란이 예상된다고 NBC뉴스가 27일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5일 자신의 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10월 1일부터 미국 내에서 제약 공장을 건설 중이지 않은 브랜드·특허 의약품에는 100% 관세를 부과한다”며 “공사가 착공됐거나 진행 중인 경우는 예외”라고 발표했다.

◇ 어떤 약이 대상인가


그러나 NBC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어떤 약품이 구체적으로 관세 대상인지 밝히지 않았다.
덴마크의 노보 노디스크와 미국 일라이 릴리는 최근 미국 내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했지만 착공 의사가 관세 면제 요건에 해당할지는 불분명하다는 관측이다. 아스트라제네카도 향후 5년간 500억 달러(약 69조7000억 원)를 투자해 미국 내 연구개발 및 생산 확대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적용 여부는 미지수다.

보톡스를 생산하는 앨러간과 암 치료제 키트루다를 만드는 머크는 주로 아일랜드에서 생산한다. 일부는 미국 생산 비중을 늘리고 있지만 면제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 이 밖에 혈액암, 폐암 치료제와 백신 등은 인도와 중국에서 제조되는 경우가 많아 타격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환자 가격 인상 가능성


미국 내 처방의 90% 이상은 제네릭(복제약)으로 이번 관세는 고가의 브랜드 의약품에 집중된다. 전문가들은 결국 제약사가 비용을 환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애런 케셀하임 하버드 의대 교수는 “관세는 곧 환자에 대한 세금”이라며 “기업이 부담한 비용은 약값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보험사나 약품 유통 중개업체가 비용을 흡수할 수도 있으나 단기적으로는 환자 본인부담금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NBC뉴스는 전했다.

◇ 미국 내 생산 확대 효과는 제한적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단기간에 미국 내 생산 확대를 촉진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신규 공장 설립에는 최소 2~5년이 걸리며 수억 달러의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기존 생산 라인을 전환하는 데도 1년 반 이상이 소요돼 트럼프 대통령 임기 내 효과를 보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미국 제약협회 관계자는 “혁신 신약 대부분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된다”며 “관세는 오히려 투자 여력을 약화시켜 신공장 건설과 신약 개발을 저해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 공급 차질 가능성은


브랜드 의약품 중심으로만 적용된다면 당장 심각한 품귀 사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관측이다. 그러나 소규모 제약사는 추가 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틈새 제품의 생산을 중단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만약 관세가 제네릭으로까지 확대된다면 공급망 타격은 훨씬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