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네마프는 20개국 129개 작품이 인디스페이스, 한국영상자료원, SMIT 시네마, 서교예술실험센터, 갤러리메이, 아트스페이스오, 미디어극장 아이공 등에서 전시된다.
특히 전시기간에 호주의 유명한 미술가이자 사진작가 겸 영화감독인 트레이시 모팻(Tracey Moffatt)의 회고전이 열린다.
트레이시 모팻은 호주 원주민 출신으로, 원주민에 대한 편견, 인종과 성에 대한 탄압, 사회적 소외 문제들을 권력에 대한 전복적 시각을 바탕으로 미술, 사진,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장르로 표현해 세계적으로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제57회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호주 대표작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동안 그녀의 작품은 국내에서 간간히 한 작품씩 소개된 적은 있으나, 그녀의 주요 대표작품 10점이 한 자리에서 기획, 상영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트레이시 모팻 회고전'에서는 장편 데뷔작 '신들리다(BeDevil)'를 비롯해, '나이스 걸(Nice Couloured Girls)' '헤븐(Heaven)' '마더(Mother)' 등 총 10개의 작품이 소개된다.

'나이스 걸(Nice Coloured Girls)'은 호주 원주민 여성들의 착취 역사를 참신한 방식으로 대담하게 그린 16분짜리 단편영화다. 개척자와 원주민 여성의 첫만남을 현대 도시에서 애써 생활하는 원주민 여성들의 모습과 병치시켜 대조한다. 억압과 강제적인 침묵이 의식을 형성함을 인지하는 호주 원주민 여성들의 시각을 음악, 이미지 그리고 화면 속 텍스트들을 통하여 보여준다.

'하늘 위에서(Up in the Sky)'는 신디 셔먼에 비견되는 호주의 사진 작가 트레이시 모팻에 의해 창조된 대우주가 보여진다. 호주 탈식민지의 아방가르드의 중요한 인물인 모팻은 '신들리다', '나이스걸', '어둠속의비명'과 같은 모팻의 작품들은 그녀가 가진 토착민들의 유산과 권력, 인종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최근에는 그녀는 파솔리니와 매드맥스 필름들 만큼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활동하고 있다. 모팻과 그녀의 작품들을 통찰력있게 그려낸 제인 콜의 다큐멘터리는 트레이시 모팻에 큰 흥미가 있는 누군가에게나 귀중한 지침서가 된다.
한편, 올해로 16회째를 맞은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은 ▶뉴미디어대안영화제 ▶뉴미디어아트전시제 ▶뉴미디어복합예술제 등 3개 섹션 12개 프로그램으로 나눠 진행된다.
노정용 기자 no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