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3D 프린팅 금속 시장, 2028년까지 18조8500억원 규모로 성장 전망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 3D 프린팅 금속 시장, 2028년까지 18조8500억원 규모로 성장 전망

3D 프린팅 금속 시장이 오는 2028년 말까지 연 16.13%씩 성장해 18조8500억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됐다.이미지 확대보기
3D 프린팅 금속 시장이 오는 2028년 말까지 연 16.13%씩 성장해 18조8500억 원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3D 프린팅 금속 시장이 2028년까지 145억4000만 달러(약 18조8500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23년 대비 연평균 16.13%의 성장률을 기록한 수치다.

이러한 성장은 다양한 산업에서 3D 프린팅 금속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항공 우주, 자동차, 의료, 공구 및 다이, 건축 및 건설 등에서 3D 프린팅 금속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항공 우주 산업에서는 가볍고 강하며 내구성이 뛰어난 고성능 금속 부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3D 프린팅 금속은 이러한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 제조 방법으로는 생산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복잡한 형상을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의 항공우주 기업인 보잉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787 드림라이너의 엔진 블레이드를 생산하고 있다.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엔진 블레이드는 기존 방법으로 제작된 블레이드보다 더 가볍고 강해 연료 효율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의료 산업에서는 높은 정밀도와 생체 적합성이 필요한 의료용 임플란트, 보철물 및 기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3D 프린팅 금속은 이러한 부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며, 개별 환자에 맞게 맞춤화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의료 기기 기업인 3D Systems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의 척추에 맞춤화된 임플란트를 생산하고 있다.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임플란트는 환자의 척추에 더 잘 맞아 안정성과 편안함을 높일 수 있다.

공구 및 다이 산업에서는 금형, 다이 및 기타 툴링 부품의 생산에 3D 프린팅 금속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처리 시간을 단축하고 폐기물을 줄이며 제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의 금속 가공 기업인 Trumpf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자동차용 금형을 생산하고 있다.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금형은 기존 방법으로 제작된 금형보다 더 빠르게 생산할 수 있고,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건축 및 건설 산업에서는 외장재 및 조각품과 같은 복잡하고 복잡한 금속 구조물을 생산하는 데 3D 프린팅 금속이 사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설계 유연성과 정밀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폐기물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건축 기업인 ICON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저층 주택을 건설하고 있다. 3D 프린팅으로 건설된 주택은 기존 방법으로 건설된 주택보다 더 빠르게 건설할 수 있고, 폐기물을 줄일 수 있다.

3D 프린팅 금속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3D 프린팅 금속 기술의 발전 △다양한 산업에서 3D 프린팅 금속의 채택 증가 △정부의 지원 확대 등이 꼽힌다.

3D 프린팅 금속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발전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이며 신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3D 프린팅 금속의 채택을 확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 3D 프린팅 금속의 잠재력이 부각되면서 3D 프린팅 금속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항공 우주, 의료, 공구 및 다이, 건축 및 건설 등에서 3D 프린팅 금속의 채택이 확대되면서 3D 프린팅 금속 시장은 향후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