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주최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현재까지 메르스 환자를 분석한 결과 평소 암·당뇨병 등 지병을 가진 메르스 환자는 44.3%(515명 중 228명 사망)의 사망률을 보였지만 건강한 메르스 환자의 사망률은 10.7% 수준"이었다고 말했다.
지병 소유 여부가 불분명한 메르스 환자의 사망률은 중간인 17%였다.
이 결과는 1018명(외국 발생)의 메르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로 전체 사망률은 30.4%였다.
이 교수는 "낙타 등에서 직접 메르스에 감염됐거나 감염 이유가 불분명한 환자의 사망률은 35.8%(667명 중 246명) 2차 감염을 통해 메르스에 감염된 환자의 사망률은 17.9%(351명 중 63명)로 1차 감염자의 절반 수준"이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반인으로 볼 수 있는 의사·간호사 등 의료인의 메르스 사망률은 5.7%(159명 중 9명)로 가장 낮았다.
이 교수는 "국내 메르스 환자 2명도 지병을 갖고 있었다"며 "건강한 사람의 메르스 사망률이 평소 중한 지병을 가진 환자들보다 훨씬 낮으므로 요즘처럼 감염병이 창궐했을 때는 각자 스트레스를 덜 받고 충분한 휴식·수면을 취하는 등 병에 대한 면역력을 높이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인웅 기자 parkiu7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