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버라이즌의 5G 개통 첩보를 접한 한국은 한밤중 기습 작전을 펼쳤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삼성전자, 이동통신 3사가 긴밀히 소통해 버라이즌보다 1시간 빠른 3일 밤에 5G 상용화를 결정했다. 야밤 기습 개통 덕분에 대한민국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타이틀을 뺏기지 않게 됐다.
버라이즌은 호시탐탐 '세계 최초 5G' 타이틀을 노려왔다. 한국이 5G 스마트폰 출시와 요금제 인가로 5G 상용화 서비스를 미루는 사이 버라이즌은 "4월 11일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하겠다"고 전격 선언한 바 있다. 실제로 버라이즌은 우리나라가 5G 1호 가입자를 개통한 날(3일) 2시간 뒤인 4일 새벽 1시에 “5G 스마트폰과 호환되는 세계 최초의 상용 5G 네트워크를 오늘부터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공식 발표했다. 모토로라 LTE폰인 모토 Z3에 5G 모뎀인 '모토모드'를 끼워 5G 기능을 사용하는 반쪽짜리 5G 서비스였지만 자칫 '세계 최초' 타이틀을 한국이 빼앗길 수도 있는 상황이었다.
다행히 한국은 의도한 대로 세계 최초 5G 타이틀을 얻어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박수 대신 비웃음이 돌아올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한국은 야간·휴일 개통을 안 하는 상황인데 갑자기 밤 11시에 무리하게 개통한 점을 놓고 '세계 최초 타이틀'에 너무 집착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은 그동안 이동통신 분야에서 글로벌 표준을 만들고 기술을 선도하며 5G 상용화를 주도해왔다. 굳이 무리하지 않아도 세계 1위라는 타이틀로 위상을 높였을지도 모른다.
최지웅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wa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