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내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 완주기대

글로벌이코노믹

국내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 완주기대

에스티팜, mRNA 기반 코로나 백신 임상 돌입
지질나노입자 원천기술 도입 등 임상 성공 자신감↑
'스마트캡' 플랫폼 기술 적용…CMO·CDO 활용 가능성 확대
새로운 캡핑 아날로그를 사용하는 ST PHARM의 SMARTCAP ® 의 강력한 IP 위치. 사진=에스티팜이미지 확대보기
새로운 캡핑 아날로그를 사용하는 ST PHARM의 SMARTCAP ® 의 강력한 IP 위치. 사진=에스티팜
K-mRNA 컨소시엄(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이 향후 국내·외 판권을 비롯한 해외 진출 및 대량생산을 기반으로 글로벌 백신 허브 전략을 모색한다. 국내 기업·기관으로는 10번째로 에스티팜이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반 백신 임상에 돌입한다.

에스티팜은 지난 24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코로나19 메신저리보핵산(mRNA)백신 후보물질 'STP2104'의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공시했다.

임상 1상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외 3개 기관에서 실시하며, 국내·외(남아공) 건강한 성인(만 19~55세) 30명의 피험자를 25㎍, 50㎍의 두 용량군으로 나눠 STP2104를 총 2회 단계적으로 투여해 안정성과 면역원성을 검증하는 다국가 임상이다.

이번 STP2104 임상 1상 시험계획의 승인은 에스티팜을 비롯해 한미약품와 GC녹십자 등의 기업이 주축이 되는 K-mRNA 컨소시엄을 통해 이뤄져 더욱 기대가 크다.
에스티팜은 지질나노입자(LNP) 원천기술을 지닌 아뷰터스의 자회사 제네반트로부터 기술을 정식 도입해 글로벌에서 공인된 LNP를 전달체로 사용하는 등 임상 성공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추고 있다.

국내에서 화이자·모더나와 동일한 LNP 기술이 적용된 mRNA 백신은 에스티팜이 유일하다는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전 세계 캡핑을 독점하고 있는 글로벌 T사의 캡핑을 사용하고 있지만, 에스티팜은 자체 캡핑인 '스마트캡'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자체 5'-capping reagent(캡핑 유사체) 30종에 대한 국내 물질특허 등록과 PCT출원이 완료돼 현재 미국 유럽 등 개별국에 대한 국제특허 등록 절차가 진행중이다.

에스티팜의 고유 캡핑 유사체인 '스마트캡'은 이미 상표권으로 등록이 완료된 상태다. LNP가 mRNA를 분해되지 않고 세포안으로 전달시켜주는 전달체로 이화여대 이혁진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개발중인 차세대 LNP 후보물질 2종의 비임상 동물시험이 진행중이며, 국내 특허출원 또한 진행중이다.

에스티팜은 스마트캡으로 자체 mRNA 백신 개발뿐만 아니라 위탁생산(CMO)·위탁개발(CDO) 활용 가능성도 열어뒀다. 또 에스티팜은 변이종에 대한 부스터샷 개발을 위한 임상 전략을 수립 중이다.

아울러 오미크론 및 스텔스 오미크론(BA.2)을 타깃으로 하는 별도의 후보물질 2종도 확보했다는 설명이다. 에스티팜이 임상을 성공하면 mRNA 의약품 특성상 각종 변이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태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h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