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팀은 지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강남·대전·부천·분당·해운대자생한방병원에서 한의통합치료를 받은 외상성 골절 입원 환자 중 665명의 치료 경과를 살폈다. 치료 유효성을 측정하는 주 평가지표로는 골절로 인한 입·퇴원 당시의 통증숫자평가척도(NRS)가 활용됐다. 이후 추적 관찰 설문조사를 통해 한의통합치료 이후 호전 정도와 퇴원 후 추가 치료 여부 등을 파악했다. 퇴원 후 211일에서 1582일 사이에 진행된 설문에는 총 339명의 환자가 조사에 응했다.
환자들은 침·약침치료, 전침치료, 세부 증상과 체질에 맞는 한약 처방 등의 한의통합치료를 받았다. 그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 NRS 값은 입원 시 중증 수준의 6.01이었지만 퇴원 시 중등도 이하인 3.95로 완화됐다. 특히 퇴원 후 진행된 추적 관찰 설문에서는 통증이 거의 없는 1.6으로 첫 측정보다 73%나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
기능 장애를 평가하는 기능장애지수(ODI)도 입원 시 54.43에서 퇴원 시 39.35로 줄었으며, 추적 관찰 설문에서는 15.17을 기록해 입원 당시에 비해 기능장애가 72%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NRS와 ODI 모두 숫자가 높을수록 통증 및 장애 정도가 심함을 뜻한다.
해당 논문의 제1 저자인 김민경 한의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외상성 골절에 대한 한의통합치료 효과와 지속성에 관해 확인할 수 있었다"며 "향후 골절 환자에 있어 한의치료가 또 하나의 치료 대안으로 자리 잡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