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홈플러스, “인수 실제 투입 자금 1조 이하도 가능할 전망”

글로벌이코노믹

홈플러스, “인수 실제 투입 자금 1조 이하도 가능할 전망”

“MBK 보통주 포기, 부동산 담보 대출로 인수 장벽 낮아져”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인 홈플러스가 기업가치 대비 낮은 인수가와 적은 실투자 비용의 인수 구조를 공개했다.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보통주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보유 부동산을 통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실제 투입 자금 1조 원 미만으로도 지배권 확보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 CI. 사진=홈플러스이미지 확대보기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인 홈플러스가 기업가치 대비 낮은 인수가와 적은 실투자 비용의 인수 구조를 공개했다.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보통주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보유 부동산을 통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실제 투입 자금 1조 원 미만으로도 지배권 확보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 CI. 사진=홈플러스
인가 전 인수합병(M&A)을 추진 중인 홈플러스가 기업가치 대비 낮은 인수가와 적은 실투자 비용의 인수 구조를 공개했다. 대주주 MBK파트너스가 보통주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고, 보유 부동산을 통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어, 실제 투입 자금 1조 원 미만으로도 지배권 확보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는 8일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이 제출한 보고서를 근거로 “홈플러스의 총 자산은 약 6조 8500억 원, 부채는 2조 9000억 원으로, 순자산은 4조 원에 달한다”며 “홈플러스의 브랜드, 사업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을 반영한다면 전체 기업가치는 약 7조 원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기존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2조 5000억 원에 달하는 보통주 투자에 대해 일절 권리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새로운 인수자는 기존 지분 인수 부담 없이,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인수자는 홈플러스를 조사보고서상 청산가치인 약 3조 7000억 원으로 인수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회생실무상 M&A시 최소한 청산가치 이상으로는 기업가치가 정해져야 한다. 실질적으로는 기업가치의 절반가량인 3조 3000억 원 할인 효과를 얻게 되는 셈”이라고 주장했다.
홈플러스는 “인수자가 홈플러스의 기업가치를 3조 7000억 원으로 평가해 인수하면 전체 채권 규모인 약 2조 9000억 원보다 많아 채권자 동의 확보에 큰 무리가 없다”고도 했다.

홈플러스는 현재 보유 중인 4조 8000억 원 규모의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활용할 경우, 일반적인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해 약 2조 원 내외의 자금 조달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실제 인수에 필요한 투입 금액은 1조 원 이하로 낮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우선주의 경우, 3조 7000억 원 범위 내에서 채권자들의 채권 금액을 제외한 잔액이 남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