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조선업 밀집지역, 저신용자 비율 전국평균보다 높아

글로벌이코노믹

조선업 밀집지역, 저신용자 비율 전국평균보다 높아

조선업 위기지역에 대한 금융대책 마련 시급
주요 조선업 밀집지역의 저신용자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김종훈 의원실이미지 확대보기
주요 조선업 밀집지역의 저신용자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김종훈 의원실
조선업체들이 밀집한 지역 저신용자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김종훈 민중당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조선업 밀집지역에서 개인 신용등급 7~10등급인 저신용자 비율은 6월 기준 8.81~10.98%의 분포를 보였다. 전국 평균은 7.87%다.

조선업 밀집지역 가운데 울산 동구와 거제시를 보면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기 이전인 2014년 말 기준 저신용자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더 낮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조선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면서 울산 동구와 거제시의 저신용자 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더 높아졌다. 다만 저신용자 비율의 절대적인 수준은 금융채무불이행자의 숫자가 급속하게 줄어드는 것을 반영해 전국적으로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저신용자들은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급전이 필요한 사정이 생길 경우 대부업체를 찾게 된다. 등록 대부업체들의 평균 대출 금리는 24% 수준이고 미등록 대부업체들의 대출 금리는 수백 %를 넘는 경우도 많다. 조선업 위기 지역 주민들의 저신용자 비율이 높다는 사실은 이 지역 주민들이 고금리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 의원은 “조선업 밀집지역의 주민들은 현재 큰 고통을 겪고 있는데 여기에는 제도권 금융기관을 이용하기 어렵게 됐다는 것도 포함된다”며 “조선업 위기지역에 대한 대책 차원에서 이들 지역 주민들이 좀 더 쉽게 저리로 금융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