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자산 10억 원이상 보유한 부자 32만명...대부분 수도권 거주,자산 절반은 부동산

글로벌이코노믹

금융자산 10억 원이상 보유한 부자 32만명...대부분 수도권 거주,자산 절반은 부동산

KB금융, 한국 부자의 자산관리법 분석...금융자산 총 2017조원
금융자산을 10억 원 이상 보유한 부자의 수가 32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KB금융그룹이미지 확대보기
금융자산을 10억 원 이상 보유한 부자의 수가 32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KB금융그룹
우리나라에서 금융자산을 10억 원이상 보유한 부자가 32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KB금융그룹의 ‘2019 한국富者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금융자산을 10억 원이상 보유한 부자는 32만3000명으로 2017년보다 4.4% 증가했다. 부자 수 증가율은 2017년보다 낮았다. 2017년은 2016년보다 부자수가 14.4% 증가한 31만명이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이들 부자들이 보유한 총 금융자산은 2017조원으로, 전년에 비해 1.7% 감소했다.

KB금융은 KOSPI지수가 2016년 말 2026에서 2017년 말 2467로 21.8% 급상승하면서 주식가치 상승에 따라 2017년의 부자수가 급증했다가 2018년 말 KOSPI지수가 2041로 전년대비 17.3% 급락하면서 부자수 증가가 둔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또 한국 부자는 서울에 14만 5000명, 경기도 7만명, 인천 1만명으로 대부분 수도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거주 부자의 비율은 전체의 69.6%다. 다음으로는 부산, 대구, 경남 순으로 부자가 많이 살고 있다.

서울 부자 중 46.6%는 서초·강남·송파구 등 ‘강남 3구’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에 살고 있는 부자는 33.7%였다.

부자들 자산 구성은 금융자산이 39.9%, 부동산자산은 53.7%로 나타났다.

부를 이룬 주요 원천은 사업소득과 부동산투자로 나타났으며 저축여력과 종잣돈, 일반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리스크를 감내하는 투자성향, 장기투자로 변동성에 대응한 것 등이 부를 늘릴 수 있던 성장 동력으로 뽑혔다.

부자 가구의 평균 연간 소득은 평균 2억2000만원이었다. 일반가구의 평균 연간 소득 5700만원의 3.9배 수준이었다. 이 중 노동소득 비중은 63.0%, 재산소득은 32.5%로 나타났다.

부자 가구의 연간 저축 여력은 평균 6620만원으로, 월 500만원 이상 저축할 수 있는 여력이 있었다. 연간 저축 여력은 연 소득에서 생활비, 세금, 3대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이다.

장기적으로는 부동산자산 중 ‘빌딩·상가’를 유망한 투자처로 전망했으며 금융자산은 ‘주식’을 선호했다. 2019년 단기 자산운용은 투자확대보다는 유지를 주요 목표로 삼아 보수적 계획을 세운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부자들은 68세 전후 은퇴해 여행, 친목활동, 자녀나 손자녀에게 용돈을 주면서 풍요로운 노후를 보내기 위해 부를 이용하고자 했으며 증여에 대해 긍정적인 자세로 부를 이전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들은 자산 67억원이 있어야 부자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50억원이 있어야 한다고 응답한 이는 전체 22.7%, 자산 100억원이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18.3%였다. 30억원이 있어야 한다는 응답도 17.2%를 차지했다. 20억원 미만을 선택한 부자는 12.0%에 불과했다. 이들 중 ‘지금 나는 부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45.8%였다.

KB금융그룹은 한국 부자의 자산관리법울 분석한 ‘2019 한국富者보고서’ 전문을 30일 공개할 예정이다.


백상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s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