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보험사, '시니어 케어 시장'으로 신성장 활로 모색

공유
1

보험사, '시니어 케어 시장'으로 신성장 활로 모색

코로나 등 성장세 제동
블루오션 실버산업 주목
신한라이프, 요양사업 추진
NH농협, 요양사업TF운영
KB손보, 케어센터 건립 중

고령층 인구가 늘면서 관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보험사들이 시니어케어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고령층 인구가 늘면서 관련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보험사들이 시니어케어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저출산에 1인 가구가 늘고 사회 구성원비율도 노년층이 높은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와함께 요양서비스, 요양병원 등 시니어케어 시장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험업도 마찬가지다. 보험업은 그동안 국내 경제 성장과 함께 오랜 기간 꾸준히 성장해 왔다. 하지만 미국발 경제위기나 코로나19 등을 겪으면서 성장세에 제동이 걸렸다. 성장세가 주춤해지자 보험사들의 고민도 깊어만 갔다. 오랜 고민끝에 보험사들은 새로운 미래의 신성장동력으로 실버 산업을 주목했다. 규모가 큰 보험사와 외국계 보험사들을 중심으로 시니어 케어 시장의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21일,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는 857만명이다. 이는 전년 대비 약 42만명이 늘어난 수치로 전체 인구에서 16.6%나 된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20.6%로 늘어날 전망이다. 전체 인구 대비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20%를 넘어서면 초고령사회로 일컫는다. 향후 3년 후 우리나라 인구 5명 중 1명 이상이 노인이된다는 이야기다.
국내 보험사들도 이같은 세태를 주목했다. 시니어케어 시장 진출은 선택이 아닌 의무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최근 신한라이프는 노인 요양사업 추진에 나섰다. 신한라이프는 요양사업 전담 TF를 만들어 요양 시설 건립 부지 매입에 나섰으며 자회사인 신한금융플러스내에 요양사업부문도 새로 신설했다.

NH농협생명도 요양사업 진출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지난 2월부터 요양사업 TF도 운영한다. 올해 하반기까지 독자적 수익성을 확보할 사업 모델을 만들어갈 예이다.

보험업계에서 제일 먼저 시니어케어 시장에 진출한 KB손해보험의 경우 자회사인 KB골든라이프케어를 설립해 사업 확장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재 KB손해보험은 강동케어센터, 위례빌리지, 서초빌리지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서울 은평구에 올해 말 개설을 목표로 케어센터 공사에 돌입했다.

보험사들이 이처럼 시니어케어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지속적인 저성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서다. 저출산과 가족 구조의 변화 등으로 보험 가입 수요가 줄고 변액보험, 종신보험 등 주력 상품 판매마저 급감하면서 생보업계는 유례없는 위기에 봉착했다. 이런 가운데 실버산업이야 말로 가뭄속 단비로 인식하고 있다. 실제, 생보협회에서는 2023년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요양·헬스케어서비스야 말로 생보사의 미래 성장동력이라고 강조했다. 협회는 시니어케어 시장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의지를 불태웠다.

이미 해외에서는 보험사들의 시니어케어 시장 진출이 활발하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고령화가 진행된 일본의 경우만 해도 보험사들의 시니어케어 시장 진출이 두드러진다. 손보재팬, 도쿄해상, 닛세이생명 등 대형 보험사들이 수익 구조 다변화를 위해 시니어케어 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해 왔다. 특히 손보재팬은 요양사업을 통해 확보한 고령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간병 솔루션도 개발했다. 이 솔루션을 다양한 간병서비스 업체에 판매함으로써 새로운 수익원도 창출했다.

중국은 지난 2020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1억9100만명에 달했다. 세계에서 고령자 수가 가장 많은 나라다. 중국은 고령 인구가 늘었지만 양로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난 2010년부터 보험사를 비롯한 민간자본에 양로시설 설립을 허용해 왔다. 현재 태강보험 등 대형 보험사들은 주요 대도시에 실버타운을 직접 건설·운영 하고 있다. 이를 기존 보험업과도 긴밀히 접목하고 연계 시켜서 실버플랜 연금보험 같은 상품도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규제라는 장벽에 가로 막혀 시장 활성화가 저조하다. 현행법상 요양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사업자가 토지와 건물을 직접 소유하거나 공공부지를 임차해야 한다. 보험사들마저 이 같은 비용 부담 때문에 요양산업 진출을 꺼리는 실정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우리 사회가 고령 사회로 접어들면서 실버산업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그만큼 보험사들입장에서도 미래 청사진이 기대된다. 하지만 규제라는 장벽이 거대하게 가로 막고 있어 시장 활성화가 지지부진한 실정이다"고 말했다.

시니어케어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토지 건물의 소유 대신 '장기 임대' 방식을 허용하는 등 노인요양시설 관련 규제 완화가 전제 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정승희 연구위원은 "요양시설 설립 관련 규제를 완화해 보험사의 요양사업 진출과 실행력을 높이고 본업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선 보험상품과의 연계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특히 요양시설 건립 관련 규제 부터 완화하고 간병 및 치매보험의 현물서비스 제공 허용, 간병보험 납부액에 대한 세제 혜택 등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손규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bal4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