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대출 기준 적용 시 1조1504억 원, 약 1.5배 적립
업계, “충담금 부담 늘면서 건전성 개선 쉽지 않아”
업계, “충담금 부담 늘면서 건전성 개선 쉽지 않아”
이미지 확대보기저축은행 업권 적자 규모가 작년 수천억 원을 기록한 가운데 올해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면서, 수익성이 더 악화할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토지담보대출(토담대)에 대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준해 대손충당금을 쌓도록 관리하면서 충당금이 1.5배로 불어나는데 따른 것이다. 고금리가 장기화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늦추면서 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26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저축은행 토담대에 대해 부동산 PF에 준해 대손충당금을 쌓도록 관리하면서 충당금이 1.5배로 불어날 전망이다. 토담대는 부동산 PF 사업에서 시공·인허가 전 자금을 조달하는 브릿지론과 사실상 유사하다. 다만 일각에서는 토담대는 일반 기업대출로 분류돼 충당금 적립률이 낮아 저축은행업권의 손실흡수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금융당국은 토담대에 대해서도 PF 대출 수준으로 적립하도록 지도하고, 작년 결산 시 이를 반영했는지 현장 점검도 실시한 바 있다. 토담대를 PF 대출 수준으로 취급함에 따라 일반 대출로 취급했을 때보다 충당금을 약 50% 늘려야 한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3분기 경영공시를 취합한 결과 작년 9월 말 기준 부동산 PF 대출채권을 자산건전성별로 분류하면 정상 5조7300억 원(51.4%), 요주의 4조7144억 원(42.3%), 고정 6106억 원(5.5%), 회수의문 398억 원(0.36%), 추정손실 566억 원(0.5%) 정도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토담대 규모 15조 원에 3분기 자산건전성별 충당금 적립 규모를 대입해 추정하면 일반 기업대출 기준 적용 시 7762억 원을 쌓으면 되지만 PF 대출 기준 적용 시 1조1504억 원, 약 1.5배를 적립해야 한다.
충당금 적립규모가 커지면 저축은행 수익성 개선이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최근 작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한 금융지주들의 기업설명 자료에 따르면 KB·하나·우리금융저축은행은 지난해 적자를 기록했다. KB저축은행은 906억 원 순손실로 전년 218억 원 순이익에서 적자 전환했다. 하나저축은행과 우리금융저축은행도 각각 지난해 132억 원, 491억 원 순손실을 내며 적자로 돌아섰다.
금융당국이 토담대를 PF 대출 수준으로 취급함에 따라 일반 대출로 취급했을 때보다 충당금을 약 50% 늘려야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지난해 3분기 경영공시를 취합한 결과 지난해 9월 말 기준 부동산 PF 대출채권을 자산건전성별로 분류하면 정상 5조7300억 원(51.4%), 요주의 4조7144억 원(42.3%), 고정 6106억 원(5.5%), 회수의문 398억 원(0.36%), 추정손실 566억 원(0.5%)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토담대 규모 15조 원에 3분기 자산건전성별 충당금 적립 규모를 대입해 추정하면 일반 기업대출 기준 적용 시 7762억 원을 쌓으면 되지만 PF 대출 기준 적용 시 1조1504억 원, 약 1.5배를 적립해야 한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저축은행 수익성이 악화하는 가운데, 충담금 부담이 늘어나면서 건전성 개선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













![[뉴욕증시] AI 우려 진정 속 다우·S&P500↑](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806275502909be84d8767411822112019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