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펫보험 외면①] 반려동물 늘어 보험 판매 늘었지만…“가성비 떨어져”

공유
2

[펫보험 외면①] 반려동물 늘어 보험 판매 늘었지만…“가성비 떨어져”

반려동물 799만 마리 중 펫보험 가입은 1.4%
‘보험료 부담’, ‘좁은 보상 범위’ 등 가입 유인 적어
업계, “동물병원 진료비 제각각…표준화된 통계 필요”

펫보험 시장 성장에도 불구하고, 보험료 부담과 좁은 보장범위 등의 이유로 가입률은 전체 1%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펫보험 시장 성장에도 불구하고, 보험료 부담과 좁은 보장범위 등의 이유로 가입률은 전체 1%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정부와 보험사가 야심 차게 추진하는 ‘펫보험’(반려동물보험) 판매가 늘고 있지만, 전체 가입률은 여전히 1%대에 불과하다. 펫보험 외면 배경에는 ‘월보험료’ 부담과 좁은 ‘보장범위’ 등으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보험업계는 앞서 한 차례 손해율 관리에 실패해 펫보험 판매를 중단한 적도 있다. 최근에는 ‘진료수가’ 투명성 등이 선행돼야 전반적인 상품성 개선이 가능하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2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펫보험 가입건수는 10만9000건으로 집계됐다. 농림축산식품부 조사에서 개와 고양이를 합한 반려동물 수가 799만 마리에 이르는 점을 감안하면 가입률은 1.4%에 그친다. 펫보험은 현재 메리츠화재와 한화손해보험, 롯데손해보험,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농협손해보험, 캐롯손해보험, 에이스손해보험 등 11개 손보사에서 판매하고 있다. 이들 보험사가 작년 한 해 판매한 펫보험은 5만8456건으로 전년(3만5140건)보다 66% 크게 늘었다.

다만 상품성을 지적하는 소비자들이 여전히 많다. KB경영연구소 조사를 보면 펫보험 가입의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월 납입 보험료 부담’이 48.4%로 가장 많았고, ‘좁은 보상범위’(44.2%), ‘낮은 보상비율’(29.2%), ‘까다로운 가입조건’(27%), ‘적은 보장금액’ 등 대체로 상품성을 지적하는 내용이었다.

펫보험은 반려동물의 ‘입원비・통원비・수술비’ 부담을 줄여주는 보험이다. 그러나 반려동물 치료비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정기검진’ 관련 보장은 빠져 있어, 수술이 필요한 사례가 아니라면 필요성을 느끼는 반려인들이 많지 않다. 특히 정기검진 다음으로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피부질환’의 경우에도 통원치료비 정도만 제한적으로 지원하는 상황이라 폭넓은 보장을 체감하기 어렵다.

가입 문턱이 높다는 문제점도 있다. 반려견은 첫 출생 이후 기본적인 접종을 위해 병원 방문이 불가피하다. 총 5개에서 6개 정도의 기본 접종을 진행하는 게 일반적인데, 한 소비자의 경우 예방접종을 위해 동물병원에 다녀온 사실만으로 가입이 거절된 사례도 있었다.

아울러 버려진 유기견들은 각종 바이러스에 노출돼 치아나 피부 상태가 온전치 못한 경우도 많은데, 이런 경우 당장의 보험가입이 어려울 수 있다. 병원 방문이 잦아지는 고령견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보험금 지급을 두고 보험사와 분쟁을 겪는 사례도 적지 않다.

보험사와 소비자 모두 펫보험에 대해 만족스럽지 못한 배경은 우리나라에서 ‘동물병원 진료비 표준화’가 되지 않은 탓이다. 동물병원 진료비가 제각각이다 보니 펫보험 내에서 보장항목과 치료비 등을 산정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동물병원 진료비 현황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개의 초진 진찰료는 전국 평균 1만840원, 입원비(중형견 기준)는 6만540원, 종합백신은 2만5991원으로 조사됐다. 고양이의 경우 전국 평균 초진 진찰료는 1만889원이며, 입원비는 7만2718원, 종합백신은 3만9610원으로 집계됐다. 개 초진 진찰료를 기준으로 서울은 최저 3300원에서 최고 7만5000원으로 22배가 넘게 차이가 났다. 인천(16.7배)·경기(13.3배)·경남(12배)도 가격 차이가 컸다.

보험사 한 관계자는 “펫보험의 경우 발병률이라든지 수의사의 의료행위 등과 관련한 통계 부족으로 상품 개발에 한계점이 있다”면서 “특히 동물병원별로 수가 편차가 커 의료비를 추정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