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보험사 '금융지주’ 마저 앞선 이유는…IFRS17發 실적착시 ‘여전’

글로벌이코노믹

금융

공유
1

보험사 '금융지주’ 마저 앞선 이유는…IFRS17發 실적착시 ‘여전’

삼성생명·화재, 1Q 순이익 1조3352억…신한·KB금융·하나금융 제쳐
IFRS17 하에서 CSM 규모, ‘자의적 반영’해 실적 부풀리기 논란 키워
금융위·금감원, “실적 바로잡자”…계리적 가정 신뢰성 제고 방안 마련

새회계제도인 IFRS17 하에서 보험사들의 실적이 대폭 개선해 보이는 착시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새회계제도인 IFRS17 하에서 보험사들의 실적이 대폭 개선해 보이는 착시현상이 지속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회계제도 변경 이후 보험사에 대한 실적 의구심이 가시지 않는다. 새회계기준인 IFRS17에서는 보험사의 이익지표인 ‘보험계약마진’(CSM) 확보가 중요하다. CSM은 장기 보장성 보험의 미래 이익을 현재 이익으로 인식해 반영하는데, 보험사별로 제각각 유리한 쪽으로 반영하다 보니 실적 부풀리기 의혹이 제기된다. 회계변경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표준화된 계리적 가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해보험·메리츠화재·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상위 5개 손해보험사의 올해 1분기 합산 당기 순이익(별도 기준)은 2조5277억 원으로 작년 동기(1조9921억 원) 대비 26.8% 급증했다.
보험사별로는 삼성화재의 당기순이익이 작년 1분기 5792억 원에서 올해 1분기 6839억 원으로 18.1% 증가해 업계 톱 순이익을 유지했다. 이어 DB손보가 4473억 원에서 5834억 원으로 30.4%, 메리츠화재가 4909억 원으로 23.8%, 현대해상은 4773억 원으로 51.4%, KB손보는 2922억 원으로 15.1% 크게 늘었다.

손보사들의 실적 개선 배경은 CSM을 단기간에 확보하기 위한 장기인보험 판매가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반면 생명보험의 경우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다. 빅3 생보사의 실적을 보면 삼성생명은 당기순이익이 6221억 원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12% 감소했고, 한화생명은 전년동기 대비 36.5% 줄어든 3683억 원, 교보생명은 2933억 원으로 실적이 전년동기 대비 38.7% 급감했다.
생보업계의 실적 부진은 어느정도 예견된 사안이었다. 회계제도 변경에 따른 미보고발생손해액(IBNR) 추가 적립에 따른 일회성 비용 등이 발생한 영향을 받았다. IBNR은 보험사고 발생으로 보험금을 지급할 의무가 생겼으나 계약자가 청구하지 않은 금액을 말한다. 보험사는 IBNR을 추산해 준비금으로 적립해야 한다.

생보사와 손보사 간 희비가 엇갈렸지만, CSM 성과 반영에 따라 실적이 부풀려졌다는 의구심은 여전히 제기된다. 삼성생명과 삼성화재만 봐도 올해 1분기 벌어들인 순이익이 1조3352억 원인데, 이는 신한금융(1조3215억 원), KB금융(1조491억 원), 하나금융(1조340억원) 등 국내 금융지주의 실적을 모두 앞서는 수준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IFRS17 도입 이후 실적과 관련한 잡음이 끊이지 않자 ‘신뢰회복과 혁신을 위한 보험개혁회의’를 출범시키면서 회계 신뢰성 제고에 나선 상황이다. IFRS17 하에서 CSM 규모는 계리적 가정에 기초한 추정과 평가로 산출되는데, 보험사들이 자의적인 계리적 가정을 통해 보장한도나 환급률을 올리고 사업비를 늘려 보험료를 할인해도 CSM을 확보하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는 게 금융당국 판단이다.

보험개혁회의 5개 실무반 중 신회계제도반에서는 계리적 가정 신뢰성을 제고하고, 단기경쟁 유인 완화, 신지급여력비율(K-ICS) 정교화 등을 목표로 제도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보험사 한 관계자는 “IFRS17 가이드라인에도 불구하고, 회계 과정을 제각각 자의적으로 해석하다 보니 실적도 좋아보이기만 하는 것”이라면서 “부풀리기 논란을 막기 위해 표준화된 기준이 필요하다”고 했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