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들이 고물가, 고금리, 고임금 신(新) 3고에 시달리면서 수익이 줄고 빚으로 연명하고 있다. 글로벌이코노믹은 폐업 위기에 처한 한식 자영업자들의 실태를 통해 그들의 현주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식자재값을 정상화하기 위해 음식값을 1000~2000원 인상해야 수지타산이 맞는다”면서도 “이미 손님이 작년보다 10%~15% 줄어 음식값을 인상하면 아예 발길이 끊길까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특히 야간에는 별도 수당을 지급해야 해서 저녁 식당 업무는 주인이 혼자 주방과 테이블을 오가며 1인 다역을 맡을 수밖에 없다.
창업 15년 경력의 A사장은 식당 매출과 경비 등 현황을 본지에 공개했다. 이 식당은 직원 3명, 아르바이트 1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연매출은 3억원 수준이다. 식당의 비용인 식자재비, 인건비, 고정비, 세금, 대출이자 등을 제외하면 연간 손에 쥐는 돈은 1800만원에 불과하다고 했다. A사장은 최근 식자재값이 급등하고 대출금리가 상승해 폐업을 고민하고 있다.
그의 매출을 구체적으로 보면 5월~8월은 냉면 매출이 70%를 차지한다. 갈비탕, 된장찌개, 해물순두부, 김치찜 등은 30% 수준이다. 가을과 겨울이 오면 매출은 반대가 된다. 냉면 매출 20%, 갈비탕 60%, 백반 메뉴가 20%다.
이 식당의 2023년 일평균 매출은 100만원을 밑돈다. 5월~8월 성수기 기준 지출을 보면 식자재가 40만원(40%)을 차지한다. 근무자 4명 인건비 35만원(35%), 고정비인 가스비·전기료·수리비·카드 단말기·메뉴 주문기 등 15만원(15%)이다.
A사장은 2023년에도 3000만원의 흑자가 났는데 본인 인건비도 되지 않는 수준이라고 털어 놓았다. 하지만 이것이 끝이 아니다. 은행에서 대출한 1억원의 연이자 600만원과 세금 약 600만원을 제외하면 남는 액수는 1800만원이다. 추가로 태풍 피해, 인테리어 및 기자재(보일러, 냉장고 등) 유지보수, 차량 운임비, 간판 교체, 은행 이자, 퇴직금 등 800만원의 추가금액이 필요했다.
이것이 A사장의 실제 이익이다. 자신의 1년 임금도 못 가져가는 것이 생계형 자영업의 현주소다.
올해는 손님이 줄어 적자로 전환할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그는 “지역화폐 지원이 클 때는 손님이 많이 찾아줘서 장사하는 재미가 있었다”며 “요즘은 불경기여서 단골도 얼굴 보기 어렵고 손님이 10%~15% 줄었다. 돈을 덜 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
자영업자들은 정부와 지자체, 국회에 금리와 세금 지원 등 적극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생계형 자영업자가 일반 중소기업처럼 고금리 대출로 버티기는 어렵다고 했다.
서울 마곡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B씨는 “시중은행에서 3%대 이자로 대출을 받았는데 변동금리여서 6%대로 올랐다”며 “곡물, 기름, 가스, 전기 가격이 다 올라 영세 자영업은 남는 게 없다. 세금이나 대출 금리 지원이라도 해줘야 장사하고 살 수 있다”고 요청했다.
한계상황에 직면한 자영업자들은 폐업하고 싶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소상공인들은 폐업을 위해 컨설팅을 받고 행정적으로 폐업을 완료하기까지 평균 11.9개월(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2023년 기준)이 걸렸다. 폐업 비용은 평균 1558만원이었다.
자영업자 C씨는 “폐업을 하더라도 경기가 나쁘면 임차인을 못 구해 임대료가 매달 나가고, 직원 퇴직금도 주려면 또 빚을 내야 한다”며 “주방 기구, 인테리어 물품도 인수인계 해야 하는데 임차인이 동종 업종이 아니면 모두 버리고, 상가는 원상복구해야 한다”며 정부 지원을 요구했다.
이와관련 폐업 100만 시대는 수도권 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벌어지는 서민경제의 파국이 우려되는 단계라는 진단이다.
이학만 상품전략연구소장은 "충남, 대전은 일반음식점의 경우 올 상반기 424곳 폐업하였고 1달 사이에 70곳 문 닫았다"며 "경남, 창원 일대도 줄도산이 역대 최고라는 자영업들의 연락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남도 마찬가지여서 폐업공제금 수령 건수는 2981건으로 115.4%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폐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 소장은 "정부가 신용보증제도를 폭넓게 운영하고 서민 결제를 지키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며 "자영업자들, 중소기업들에게 대출을 확대해주는 동시에 서민 금리를 재조정하는 안전정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광복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