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 위원’ 쏠린 시선에…“금리 결정 향방은 누구도 몰라”
“다만 모멘텀 지수상 집값 하락세 드라이브”…금리인하 여력 시사
“불확실성 제거는 곧 주택 시장 안정화 지름길” 조언도
“다만 모멘텀 지수상 집값 하락세 드라이브”…금리인하 여력 시사
“불확실성 제거는 곧 주택 시장 안정화 지름길” 조언도

신 위원은 이날 서울 중구 한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집값 상승 모멘텀의 둔화 기조를 지속해서 살피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신 위원은 “(개인적으로) 지난 7월 피벗(통화정책 전환) 의견을 내려 했지만, 6월부터 예상치 못한 집값 급등 시그널이 감지, 급격한 위험요인으로 떠오르면서 브레이크가 걸린 상황이다”며 “(변화하는 상황에) 내달 기준금리 결정의 향방은 누구도 모른다”고 말했다.
다만 신 위원은 주택이 ‘예측 가능한 시장’이라는 점에서 금리 인하까지 내다볼 수 있겠다고 전망했다.
다만 집값 상승 모멘텀이 확실하게 둔화 중인지 여부는 추가 데이터를 살핀 뒤 판단하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금리 인하를 단행하더라도 내수가 줄어들 가능성은 없다고 봤다.
기준금리를 온전한 집값 억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방안에는 고개를 저었다. 만약 기준금리를 가능한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면 집값은 확실히 잡을 수 있겠지만, 이는 불가능한 설정이라는 것이 신 위원 설명이다.
신 위원은 주택 시장을 안정화하기 위해선 불확실성을 제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 주택의 경우 위험부담이 적고 수익성은 높아 투자자산 측면으로 봐도 효율이 높다는 점에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지면 도리어 주택 수요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양질의 주택 공급, 가격 버블 제거 등을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