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수협중앙회 “해외 현지서 국내수산물 직수입 유통 첫 시도”

글로벌이코노믹

수협중앙회 “해외 현지서 국내수산물 직수입 유통 첫 시도”

일본 오사카 무역사업소 개소
“활수산물 중심으로 일본 수출량 증가…거점 육성 목표”
노동진(오른쪽 네 번째) 수협중앙회장이 김동희(가운데) 일본 오사카 무역사업소장 등 관계자들과 18일 오사카에서 열린 개소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이미지 확대보기
노동진(오른쪽 네 번째) 수협중앙회장이 김동희(가운데) 일본 오사카 무역사업소장 등 관계자들과 18일 오사카에서 열린 개소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수협중앙회
수협중앙회가 해외 현지에서 국내산 수산물을 직접 수입해 유통하는 사업을 처음으로 추진한다. 수산물의 안정적인 판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수협중앙회는 18일 일본 오사카에 무역사업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전복, 넙치, 붕장어 등 활수산물 중심으로 일본 수출량이 증가한 점을 고려해 무역사업소 개소 국가를 선정했다고 수협은 밝혔다. 일본은 국내수산물의 최대 수출국으로, 활수산물 수출액만 7800만달러(한화 약 1132억원) 규모다.

수협은 이번 무역사업소 개소에 따라 현지 바이어와 거래가 성사되면 생산처에 주문을 넣고 해상으로 운송해 현지에 직접 유통할 수 있게 됐다.
운송은 활어를 실은 일본 운반차를 그대로 선박에 선적해 부산항에서 시모노세키 또는 하카타 항로를 통해 옮겨지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수협은 활수산물을 취급 중인 현지 바이어와의 취급 규모를 늘리면서 신규 바이어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활어운반차를 직접 구매해 운영함으로써 취급 품목을 다양화하고, 수입 및 유통 물량 확대를 도모하는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수협은 밝혔다.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은 “해외시장 진출을 가속화함으로써 국내 수산물의 브랜드 가치를 한층 강화하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수협은 지난 2021년 일본에 첫 활수산물 수출을 통해 3억원 실적을 올렸다. 지난해는 이보다 14배 증가한 43억원을 팔아치웠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