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임종룡 회장 "생산적 금융 5년간 80조 투입"… 李정부 정책 발맞추기

글로벌이코노믹

임종룡 회장 "생산적 금융 5년간 80조 투입"… 李정부 정책 발맞추기

생산적 금융 73조·포용 금융 7조 투입 직접 발표
자본안정성·AI 기반 경영시스템·건전성 관리 개편
추진 동력 위한 그룹 내 거버넌스 체계 개편
브리핑을 진행하는 임종룡 회장 사진=구성환 기자 이미지 확대보기
브리핑을 진행하는 임종룡 회장 사진=구성환 기자
우리금융그룹이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생산적 금융의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이번 발표에서 향후 5년간 총 80조 원을 투입해 생산적 금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했다. 우리금융그룹 임종룡 회장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이재명 정부의 생산적 금융 확대에 보조를 맞추는 행보를 보였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그룹의 임종룡 회장은 이날 서울 우리은행 본사에서 진행된 ‘우리금융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 CEO 합동 브리핑’에서 생산적 금융 73조 원, 포용금융 7조 원의 추진방안과 이를 뒷받침할 자본 안정성, AI 기반 경영시스템 대전환, 자산 건전성 관련 사항 등을 설명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생산적 금융 전환에 약 73조 원을 실행하기로 했다. 우리금융은 △국민성장펀드 참여(10조 원) △투자(7조 원) △융자(56조 원) 등으로 구분하여 실행한다. 우리금융이 국민성장펀드에 투입되는 10조 원의 경우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한 150조 원 규모의 국민성장기금 중 민간·구민기금 75조 원의 약 13%에 달하는 규모이다. 우리금융은 그룹 차원에서 약 7조 원 규모의 자체 투자에도 나선다. 우리금융은 △그룹 공동투자펀드(1조 원) △증권 중심 모험자본 투자(1조 원) △자산운용 계열사의 생산적 금융 펀드(5조 원) 등 3가지 분야에 투자한다.

또 우리금융그룹은 56조 원 규모의 융자 지원에도 나선다. 우리 금융은 △K-Tech 프로그램(19조 원) △지역 소재 첨단전략산업 육성(16조 원) △혁신 벤처기업 지원(11조 원) △국가주력산업 수출 지원(7조 원) △우량 중소기업 첨단인력 양성 및 소상공인 금융지원(3조 원) 등으로 구성됐다. 우리금융은 이러한 융자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한 새로운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우리금융은 포용금융 확대에 약 7조 원이 투입된다. 우리금융은 포용금융 확대를 위해 △서민금융대출 등 유동성 확대(7조 원) △상생·보증대출 재원 출연 등 소상공인 금융지원(480억 원) △배드뱅크 지원 등 정부 연계사업(1000억 원) 등에 재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우리금융은 이같은 포용금융 지원책을 추진하기 위해 조직체계 정비 또한 진행된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 7월에 소비자보호 전담조직을 신설 했으며, 오늘 9월에는 우리은행에 금융사기예방부를 신설해 금융소비자보호 조직 체계를 정비한다. 또 금융소비자보호 거버넌스 강화 추진을 통해 모범관행 선제적 이행에도 나선다.

우리금융그룹은 80조 규모의 생산적 금융을 실행하기 위해 △자본 안정성 △AI 기반 경영시스템 대전환 △건전성 관리에도 나선다.

우리금융은 그룹 내 관리방안 마련 또한 나선다. 우리금융은 첨단전략산업금융 협의회를 신설해 생산적 금융의 추진 동력 화보를 위한 그룹 차원의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 운영하며, 자회사별 성과평가에도 ‘생산적·포용금융’ 배점을 최대 30% 비중으로 신설한다. 그리고 우리금융그룹은 자회사인 우리은행에 ‘생산적 금융 전담조직’을 신설해 해당 업무에 대한 컨트롤타워 기능을 부여해 실행동력을 강하게 걸 전망이다.

이날 브리핑에 나선 임종룡 회장은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는 △기업금융 명가로서 축적해 온 노하우와 강점 △종합금융그룹 완성을 통해 진용을 갖춘 자회사들의 역량을 총동원해 창업·성장·도약 등 기업 성장단계별 지원을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본 프로젝트 완수를 통해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과 포용금융 확대를 이뤄 우리금융 지속성장의 기반도 다지겠다”고 말했다.


구성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oo9ko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