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위사업청은 한민구 국방부 장관 주재로 16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92차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F-16 성능개량 사업 기종결정 수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방사청은 2013년 말 KF-16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미국 정부와 FMS(Foreign Military Sale·대외군사판매)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면서 BAE시스템스를 체계종합업체로, AESA 레이더 공급업체로는 레이시온을 선정해 계약을 체결했다.
KF-16은 1988년부터 전력화를 시작한 우리 공군의 주력 전투기이지만 정밀무기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고 항전장비의 노후화로 유지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공군이 방사청을 통해 성능개량 작업에 나선 것이다.
결국 사업은 차질을 피할 수 없게 됐고 이로 인해 KF-16 전력화 일정이 늦어지면서 전력 공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졌다. 방사청은 업체들과 입찰보증금 반환 소송도 진행 중이지만 사실상 사업은 중단된 상태다. 이에 국회는 지난달 30일 본회의를 열고 KF-16 전투기 성능개량사업에 대한 감사원 감사 요구안을 처리했다.
방사청은 KF-16 성능개량사업 추진 과정에서 기존 업체들이 사업비 증액을 요구하면서 차질이 빚어진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대성 기자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