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은 1일 일본이 최근 국제무대에서 한국을 견제하는 것과 관련, "한일 관계가 과거 수직적 관계에서 수평적 관계로 변하면서 일본이 아시아에서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깔린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의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입후보에 일본이 반대 입장을 보인다는 사회자의 언급에 이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유 본부장이 사무총장이 되면 한국의 이익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중요한 선거이며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 실장은 '일본이 방해공작을 한다는 보도가 있다'는 질문에는 "일본은 자국의 이익을 지키고자 여러 활동을 할 것"이라며 "그에 대비해 우리도 총력을 다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김 실장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확대, 한국을 포함하려는 미국의 구상에 대해서도 "일본으로서는 아시아 유일 G7 국가의 지위가 위협받으리라 생각할 것"이라고 했다.
1년을 맞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해서는 "정부는 1년 전 100개 핵심품목에 대한 공급을 안정화하는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며 "지금은 미중 패권경쟁 시대에 전 세계 공급망이 흔들리는 상황이다. 훨씬 더 많은 산업에 대한 안정화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징용배상 판결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에서는 공공연하게 두 자리 숫자의 카드를 갖고 있다는 얘기를 흘린다"며 "여러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으며 특히 외교적으로 풀고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최근 다주택 청와대 참모에 대한 비판에는 "공무원 출신으로 서울과 세종에 집을 가진 분들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런 설명에 국민들이 납득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하는 것이 국민들에게 가장 잘 호소하는 방법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