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시장 시절 신설된 먹거리시민위원회 위원만 140명
- 4년간 지급수당 2억 원, 599만원 수당 지급 받은 위원도
- 윤영희 시의원, 예산 투입 대비 성과 절대 부족
- 4년간 지급수당 2억 원, 599만원 수당 지급 받은 위원도
- 윤영희 시의원, 예산 투입 대비 성과 절대 부족

먹거리시민위원회는 서울시민(시민, 활동가, 전문가, 행정 공무원 등)이 주체가 되어 민·관 협치로 먹거리 전반에 대한 정책 자문 및 실행 지원을 하기 위해 지난 2017년 출범했다.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윤영희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서울시로부터 받은 ‘먹거리시민위원회 운영현황’자료에 의하면, 먹거리시민위원회는 1기(2017.11.2.~2019.12.31.) 10개 분과 140명, 2기(2020.3.20.~2022.6.30.) 7개 분과 111명의 위원으로 구성해 위원 수가 이례적으로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위원회가 연 2~4회 회의를 개최하는 것과 달리 1기의 경우 전체 정기회의 분기 1회, 기획조정위원회 회의 및 분과위원회 회의 월 1회 개최를 원칙으로 하는 등 회의 횟수도 많았다.
이로 인해 지난 4년간 위원들에게 지급한 회의 참석 수당 총액만 2억 448만 원에 달했고, 1~2기를 연임하며 총 599만 원의 수당을 지급 받은 위원도 있었다.
윤영희 의원은 “2022년 정기회의 결과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성과라는 것이 국제콘퍼런스 개최, 거버넌스 모범 실현 등 추상적인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 실제 위원회 활동을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된 먹거리 정책이나 조례 입안 등의 객관적인 성과는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윤 의원은 “먹거리 정책 수립과 실행에 있어 다양한 서울시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위원회의 취지를 감안하더라도 100명이 넘는 과도한 위원 수와 필요 이상의 잦은 회의 운영에 과도한 예산을 사용한 것은 운영의 목적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현재 구성 논의 중인 3기 위원회는 면밀한 검토를 통해 위원 수 및 회의 횟수 축소, 분과위원회 개편 등으로 보다 내실 있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관련 조례 정비 등으로 시민의 세금이 누수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박원순 전 시장 시절부터 현재까지 2~ 4곳의 위원회에서 복수 위원으로 활동 하는 사람들이 있어 논란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노춘호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vanish119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