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영화관서 전복·광어·가리비 판매…해수부, 영화관 수산물 간식 개

글로벌이코노믹

영화관서 전복·광어·가리비 판매…해수부, 영화관 수산물 간식 개

남양유업·한국수산회 등이 수산물 공급 및 위생관리
일각서는 과도한 영화관 취식 허용 '불편' 호소
영화관 간식용으로 개발된 수산물 간식 신메뉴들. 사진=해양수산부이미지 확대보기
영화관 간식용으로 개발된 수산물 간식 신메뉴들. 사진=해양수산부

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6일(금) 19시 대전 메가박스(신세계백화점)에서 ‘영화관 수산물 간식 개발을 위한 협약 및 시식회 행사’를 개최했다.

해양수산부는 어식백세 캠페인 사업의 일환으로 올해 초부터 영화관 수산물 간식 시제품 개발을 추진해 왔으며, 이번에 시제품 제작을 마치고 시식회를 통해 평가를 진행할 계획이다. 시식회에는 그간 메뉴 개발에 함께해 온 영화동호회 문화콘텐츠협회 회원 200여 명이 참여하여 새로 개발한 시제품인 허니버터전복과 김부각을 평가했다. 해당 시제품들은 시식회 평가 내용에 따라 보완 및 관련 절차를 마친 뒤 상품화되어 향후 영화관에서 정식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시제품 중 신규 수산물 간식으로 평가 대상이 된 허니버터전복과 김부각 외에 광어볼, 광어앤칩스, 가리비버터구이, 새우바스켓은 이미 평가를 마친 간식이다. 때문에 머잖아 영화관에서 실제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국립부경대학교와 한국수산회, 남양유업이 안전하고 우수한 우리 수산물 공급과 품질, 영양, 위생관리, 수산물 간식 상품화 및 영화관 입점 추진 등에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전에는 수산물을 가정과 식당에서 주로 먹었지만, 이제는 여가생활 중에도, 건강관리를 위해서도 많은 분들이 찾고 있다"며, "국민들께서 영화관뿐만 아니라 일상 곳곳에서 우리 수산물을 더 많이 접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우리 수산물의 소비 확대를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하여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가뜩이나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로 수산물을 기피하는 상황도 상황이지만 무엇보다 영화 시청에 집중하기 힘들게 계속 판매 간식 종류가 늘어나는 것에 반대하는 이들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신메뉴 중 가리비버터구이와 새우바스켓은 냄새도 냄새지만 소스와 버터 등이 시트 등에 묻어 위행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상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anghoo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