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궐기대회서 '공공주택지구 지정 철회' 목소리 높여

이날 집회는 지제역 환지추진 위원회와 평택시민지역경제살리기 비상대책위원회 등 시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존대로 환지형 도시개발로 원상 복구할 것을 성토했다.
총연합회 측은 "시가 지난 2021년 6월 3일 개발행위허가 제한구역으로 지정하고 환지방식으로 개발하겠다는 약속을 어기고, 국토교통부의 발표를 수용한 것은 배신하는 행위다"며 "LH를 앞세운 졸속 행정에 시민들은 개탄을 금치 못하고 있다"면서 강제수용 방식은 철회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개인 재산권 강탈하는 강제수용 결사반대한다. 탁상행정, 졸속행정의 행정 독재와 정책혼선을 일삼는 국토교통부 장관은 사퇴해야 한다"고 지적하며, "평택시는 2조가 넘는 개발계획을 부담으로 여겨 국토부에 개발 계획을 이관했다는 직무유기 사고 방식이다"면서 상여를 메고 평택역에서 시청까지 궐기대회를 통해 평택시장의 사퇴를 강력 규탄했다.
주정훈·이유채 연합회 위원장은 "정장선 평택시장은 주민들과 약속한 환지형 도시개발으로 원상 복구 해달라"며 "졸속으로 추진되는 강제수용 등을 즉시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평택지제역 일원은 환승센터부지 9만9천㎡를 평택도시공사가 맡고 나머지 부지 234만7000㎡를 시 주도의 환지방식으로 개발할 계획이었지만, 지난 6월 국토교통부는 지제동·신대동·세교동·모곡동·고덕면 일대 453만㎡ 규모 신규 택지에 주택 3만 3000호를 공급한다는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환지개발이 무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시민의 재산 손실도 중요하지만 체계적이고 균형된 발전을 위해서는 지자체보다 국토부가 적합하기에 국토 발전도 고려 대상"이라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지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lwldms79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