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 친환경 에너지 전환 박차… 미니 수소도시 조성·신재생에너지 인프라 확충

고양시는 지난해 국도비 56억여 원을 확보해 태양광, 지열,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 보급을 확대했다. 주택 지원사업과 미니태양광 지원사업을 통해 176가구에 총 401kW 용량의 태양광 설비를 설치했고, 민간 건물 12개소에도 186.5kW의 태양광 설비를 지원했다. 또한, 민간 건축물 94개소에는 태양광 315kW, 지열 175kW, 태양열 32㎡를 보급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지난해 12월에는 298.2kW 규모의 시민햇빛발전소를 구산동에 준공하며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 힘썼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고양시는 ‘RE100 재생에너지 보급 달성률’ 평가에서 5년 연속 최우수 S등급을 받으며, 지속적인 친환경 정책 추진 능력을 입증했다.
올해도 공공 및 민간시설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설비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킨텍스 제1전시장에 262.2kW 규모의 태양광 설비를 설치하고, 국비 6억여 원을 확보한 융복합 지원사업을 통해 태양광 57개소, 지열 10개소, 태양열 1개소에 대한 설치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주택 지원사업을 통해 110가구, 미니 태양광 지원사업으로 50가구에 태양광 설비를 추가 보급해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해 나간다.
고양시는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에도 친환경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을 추진 중이다. 현재 일산동구 설문동에 9.9MW급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설치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는 약 1만 8000 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지난해 11월에는 고봉5통 마을, 고양그린에너지㈜, 서울도시가스㈜와 협약을 체결해 발전소 건립과 도시가스 공급을 위한 협력을 강화했다.

오는 6월 착공을 목표로 관련 인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며, 2025년 5월 준공할 예정이다. 설문동 외에도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지역을 대상으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설치를 검토하고 있어, 향후 고양시 전역에서 친환경 에너지 보급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고양 JDS지구 경제자유구역 내에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100만㎡ 이상의 개발사업에서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가 의무화되며, 이를 활용해 수소연료전지 등 친환경 에너지를 적극 도입할 방침이다.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미니 수소도시 조성도 본격화된다. 고양시는 지난해 10월 경기도 미니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선정돼 도비 50억 원을 확보했다. 총사업비 100억 원(도비 50억, 시비 50억)을 투입해 3년에 걸쳐 추진되는 이 사업은 고양시의 수소경제 인프라 구축을 위한 핵심 프로젝트로 꼽힌다.

올해 상반기에는 종합 계획(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을 착수해 1년간 진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고양시 전역의 수소도시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후 2026년부터 2027년까지 수소 생산시설을 설치하고 본격적인 상업 운전에 돌입할 계획이다. 미니 수소도시가 조성되면 하루 1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수소버스 약 50대, 수소차 약 200대를 충전할 수 있는 양이다.
고양시는 수소경제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망을 구축하는 한편, 수소차 구매 지원 예산을 늘리는 등 다각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동환 시장은 "고양시가 탄소중립 사회로 나아가는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수소경제 인프라 확충을 통해 친환경 도시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 확대 속에서 고양특례시가 미래 에너지 전환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