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억 원 재산 출연, 13개 안건 의결… 8월 남양주문화재단 공식 출범

이번 창립총회는 지난 수년간 준비해 온 ‘문화도시 전환 전략’의 실질적인 첫 단추다. 남양주시는 수도권 동북부 최대 규모로 성장한 도시 외연에 걸맞은 문화 수요 대응을 위해, 행정 중심의 문화사업 구조를 벗어나 독립 법인 체제로 전환할 필요성을 제기해 왔다.
이날 총회에는 주광덕 시장을 포함한 당연직 3인과 선임직 7인 등 총 10인의 임원이 참석해 정관 심의, 임원 임명장 수여, 사업계획 및 규정안 의결 등 총 13개 안건을 처리했다. 특히 재단 출범의 기반이 될 기본재산과 운영재산 총 97억7천만 원 출연안이 승인되면서, 실질적 설립 요건이 모두 갖춰졌다.
‘문화 인프라 중심지’ 겨냥… 예술회관·공연장 운영 전문화
남양주문화재단은 8월 공식 출범을 목표로 한다. 시는 이달 중으로 직원을 공개 채용하고, 내달 법인 등기를 마친다는 계획이다.
재단은 출범 직후 △지역 예술인 창작활동 지원 △문화예술 콘텐츠 기획 및 유통 △공연 예술 품질 향상 △문화시설 운영의 전문화 등 지역 문화 생태계 전반을 포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왕숙2지구에 들어설 예정인 대규모 문화예술회관을 비롯해 권역별 공연장 등의 운영을 전담하며, 향후 수도권 동북부 문화 인프라의 거점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단순 기획·운영을 넘어, 시설과 콘텐츠의 통합적 기획·관리 역량이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첨단산업과 문화, 두 축의 융합 도시로”
주광덕 시장은 총회에서 “문화재단 설립은 남양주가 단순한 위성도시를 넘어 문화예술과 첨단산업이 조화를 이루는 미래 전략도시로 가기 위한 시발점”이라며 “카카오 AI 허브 유치와 더불어 문화적 자산을 체계화하는 이중축 전략이 본격화됐다”고 강조했다.
이번 문화재단 설립은 단순한 문화행정 독립을 넘어, 남양주시가 추구하는 ‘첨단 기술 기반 복합도시’ 전략과도 맞닿아 있다는 평가다. 인구 75만의 대도시로 진입한 남양주가 문화정책의 정합성을 갖추는 동시에, 지역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한 첫 발걸음이라는 의미다.
한편 이날 의결된 2025~2026년 중기 사업계획안에는 시민 참여 기반 문화 프로그램 확대, 민간 협력형 축제 기획, 공공문화시설의 운영 최적화 모델 등 실질적 성과 중심 사업이 다수 포함됐다. 시는 재단 출범 이후 민간 예술계, 청년 창작자, 마을 공동체 등과의 협업 구조 마련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