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외국인 관광객은 와우패스 컨시어지 서비스 이용 후기에서 “콘서트가 끝나자마자 호텔로 이동하면서 와우패스 모바일 앱으로 치킨을 시켰어요. 호텔에 도착하니 로비에 배달 음식이 와 있더라구요. 편하게 바로 먹을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와우패스는 K-덕질러(팬)들의 최고 파트너에요!”라며 만족스러운 후기를 공유했다.
최근 K-푸드를 호텔에서 편히 즐기고 싶어 하는 20대 여성 방한 외국인이 늘고 있다. 특히 치킨 배달 주문 건수가 압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31일 오렌지스퀘어(대표 이장백)에 따르면 방한 외국인 전용 올인원(선불카드·환전·교통카드·모바일페이) 결제 플랫폼 와우패스의 신 기능 ‘컨시어지 서비스’가 외국인 관광객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방한 외국인도 언어 소통에 대한 걱정 없이 손쉽게 배달 음식을 주문할 수 있어서다.
주문이 제대로 됐는지 궁금하거나 불안할 수 있는 외국인의 심리를 고려해 배달 진행 상황도 실시간 앱푸시 알림으로 제공한다. 와우패스 다국어 콜센터에서는 외국인 이용자의 문의에 신속하게 대응할 뿐 아니라, 언어 장벽으로 직접 소통이 어려운 배달기사와 외국인 이용자 간의 중간 소통을 매끄럽게 도와준다.
주문한 음식은 방한 외국인의 언어 소통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호텔 내 프론트데스크 또는 푸드존, 객실 문 앞 등에서 비대면으로 수령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한다. 배달 완료 시에도 앱푸시 알림을 제공한다.
한국 로컬 배달앱의 경우 다국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외국인 관광객의 사용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게다가 해외결제수단을 지원하지 않거나 복잡한 본인 인증 절차로 인해 이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만일 주문에 성공해도 음식을 수령하기 위한 배달 기사와의 소통에서 외국인은 또 다시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와우패스의 컨시어지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번 신 기능 출시 후 외국인이 K-푸드 배달을 체험한 주문 건수는 출시 첫 주(4/28~5/4) 대비 최근(7/14~7/20) 21배(2000%) 증가했다. 현재까지 누적 30여 개 국가의 방한객이 이용했으며, 무려 86% 이상이 여성 이용객이었다.
이용자 연령은 1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하게 집계됐으며 △21세~25세 25% △26세~30세 21% △31세~35세 13%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가장 많이 주문한 K-푸드는 치킨으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다. 치킨을 제외한 음식 중에선 △햄버거(38%) △중화요리(18%) △떡볶이와 김밥(17%) △보쌈·족발(15%) △요거트아이스크림(9%) △커피·음료(3%) 순으로 집계됐다. 이 중 중화요리를 주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고 있는 점은 눈여겨볼 만하다. 한국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한국식 중화요리에 대한 호기심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현재 와우패스는 인기 있는 브랜드와 메뉴 위주로 서울과 부산에서 컨시어지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호텔 외에 대학교 생활관(기숙사), 오피스텔(단기 임대), 에어비앤비, 빌라 등에서도 배달 주문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추후 경기, 인천 지역까지 배달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송도에 위치한 O호텔 관계자는 “외국인 관광객의 부탁으로 배달 주문을 대신 해주고 돈을 받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 과정이 불편함에도 투숙객을 위해 거절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와우패스의 컨시어지 서비스는 방한객과 호텔 모두에게 윈윈인 서비스다. 서울, 부산에 이어 경기, 인천 등으로 서비스 적용 범위가 빨리 확장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장백 오렌지스퀘어 대표는 “와우패스는 외국인 관광객 9명 중 1명이 사용하는 서비스로써 외국인이 한국을 여행하면서 겪을 수 있는 모든 불편을 하나의 앱으로 빠르고 세심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역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