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나눔의 집서 기림의 날 기념식, AI로 복원된 故 김순덕 할머니 디지털 휴먼 최초 공개

김 지사는 9일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 집에서 열린 기림의 날 기념식 및 기림문화제에 참석해 “1991년 8월 김학순 할머님이 피해 사실을 세상에 처음 알린 지 34년이 지났지만, 우리는 ‘완전한 해결’로 보답하지 못했다”며 “240분의 피해자 중 이제 6분만이 생존해 계신 현실이 더욱 절박하게 다가온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경기도는 먼저 우리 곁을 떠난 어르신들뿐 아니라 본명조차 남기지 못한 채 사라진 분들을 평화와 인권의 역사를 일깨운 증언자로 기억하겠다”며 “할머님들의 명예와 존엄이 완전히 회복되는 날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더불어민주당 소병훈·안태준 의원, 국민의힘 송석준 의원도 함께했다. 나눔의 집 세영 스님은 환영사에서 “과거를 직시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피해자 명예 회복과 역사 전승 의지를 밝혔다.
김 지사가 “어떤 꿈을 가장 먼저 이뤄드리면 좋을까요?”라고 묻자, 김 할머니는 “마음 같아선 고향에 묻히고 싶지만, 죽기 전 일본 정부가 진심으로 사죄하는 모습을 보는 게 마지막 소원”이라고 답해 현장을 숙연하게 했다.
경기도는 위안부 피해자 기억 확산을 위해 꾸준히 ‘기억의 꽃배달’ 프로젝트를 이어왔다. 지난해 국내 139개 소녀상에 시민들과 함께 꽃을 전달했으며, 올해는 해외 7개국 13곳의 평화의 소녀상에 헌화하는 캠페인을 5월부터 7월까지 진행했다. 미국, 독일, 이탈리아, 호주, 필리핀, 중국, 캐나다 등 세계 곳곳에서 전달된 이 꽃은 피해자에 대한 존경과 기억, 그리고 국제 연대의 메시지를 담았다.
육동윤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dy332@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