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산 1기 신도시 재건축 본격화...고양시, 수도권 서북부 경제지형 재편

글로벌이코노믹

일산 1기 신도시 재건축 본격화...고양시, 수도권 서북부 경제지형 재편

9천여 세대 정비로...백송·후곡·강촌·정발마을 선도지구 지정
조합·신탁·공공 방식 병행, 전문가 자문단 통한 패스트트랙 가동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고양시이미지 확대보기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사진=고양시
고양특례시가 준공 30년을 맞은 일산 1기 신도시 재건축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수도권 서북부 부동산·도시개발 지형이 요동치고 있다. 총 9174세대 규모의 선도지구 재정비가 가시화되며 주거환경 개선뿐 아니라 건설·금융·유통 등 연관 산업 전반에 파급 효과를 불러올 전망이다.

고양시는 지난해 11월 국토교통부 공모를 통해 백송·후곡·강촌·정발마을 4곳을 선도지구로 선정 받았다. 이들 지역은 일산 재건축의 상징적 시발점으로, 향후 신도시 전체 정비사업을 견인할 핵심 사례로 꼽힌다.

29일 시에 따르면 지구별 사업방식도 차별화됐다. 백송마을은 주민투표를 거쳐 조합 방식을 확정했고, 후곡마을은 한국토지신탁과 협약을 맺고 예비사업시행자를 지정했다. 강촌마을 역시 신탁방식을 택했으며, 정발마을은 공공시행을 선택해 LH와 협의 중이다. 이처럼 조합·신탁·공공 방식이 혼합 적용되며 자금 조달·사업성 확보 측면에서 다양한 해법이 모색되고 있다.

고양시 전경. 사진=고양시이미지 확대보기
고양시 전경. 사진=고양시

시는 ‘패스트트랙’ 제도를 도입해 사업 속도를 높이고 있다. 도시계획·건축·교통·교육 등 분야별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된 자문단이 주민 초안을 신속 검토해 행정 절차가 지연되지 않도록 지원한다. 이는 재건축 사업이 주민 합의와 절차적 정당성을 전제로 하는 만큼, 발생할 수 있는 시간 소요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다.

시장 일각에서는 타 신도시보다 더디다는 지적도 있으나, 고양시는 “실제 절차상 속도는 결코 늦지 않다”며 오해를 불식시키고 있다. 재건축은 단순한 주택 정비를 넘어 교통·교육·상업 인프라 전반을 재구성하는 도시공간 재창조 사업으로, 장기적 관점에서 속도보다는 안정적 추진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재건축 사업은 지역경제 전반에도 직·간접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건설 투입 자금은 수조 원대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며, 건설업·자재업계는 물론 금융권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수요, 상권 재편, 생활 SOC 확충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인근 부동산 시장도 주거 품질 개선 기대감으로 가격 안정과 투자 수요 증가가 맞물릴 가능성이 크다.

일산신도시 전경. 사진=고양시이미지 확대보기
일산신도시 전경. 사진=고양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주민 기대가 큰 만큼 선도지구 재건축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반드시 이끌어내겠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일산 1기 신도시 재건축이 수도권 서북부의 도시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향후 전국 1기 신도시 정비사업 전반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강영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v40387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