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페리노 로돌포 필리핀 무역산업부 차관은 지난 29일(현지 시간) 마닐라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시작된 한국과 필리핀 양국 정부의 자유무역협상에서 필리핀산 과일에 대한 수용을 한국 측이 확대하도록 요구하는 대신, 한국으로부터의 EV 부품에 대한 관세 철폐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양국의 이번 무역 협상에 의한 계약은 올해 11월에 체결될 전망으로, 현재 교섭이 한창 진행 중이다. 다만 현재 상태의 필리핀 EV 시장은 그 규모가 매우 작아 이러한 필리핀 정부의 제안에 대해 한국 정부가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는데, 필리핀 정부가 EV 시장의 확대를 목표로 삼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어떠한 분야보다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칫 소홀한 판단을 내린다면, 한국 기업들의 발목을 옥죄는 사슬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필리핀 무역산업부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필리핀 내에는 30개의 EV 관련 기업이 조업하고 있으며, 연간 약 8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2018년 말까지 국내 EV 등록 대수는 4362대로 충전 스테이션은 40개에 그치고 있다.
한편, 한국과 필리핀은 2017년 11월 '전기자동차 협력' 관련 MOU를 체결한 바 있으며, 2018년 5월에는 필리핀 전기자동차협회 관계자들이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들을 만나 자금조달을 포함, 안전기준 및 법규, 규제 등과 관련된 필리핀 전기자동차시장 육성과 관련해 한국 정부의 협력을 제안하기도 했다. 이는 EV 및 부품 등과 관련한 한국 기업들에게 필리핀 시장의 기회가 열려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김길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ski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