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는 4일(현지시간) 헬스케어 리서치 업체 46브루클린 분석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제약사들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심각한 압박을 받아왔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환자들이 병원을 찾는 경우가 줄어 처방약 판매가 크게 위축됐기 때문이다.
앞서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한 화이자, 대형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등 제약사들은 지난주 미국 내 300여 약품 가격을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이번 분석 결과 가격이 인상된 약품 종류는 500가지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인상 폭은 10%를 넘지는 않았다. 인상폭 중간값은 4.8%로 작년 인상폭에 비해서는 소폭 하락했다.
앱비는 전세계 베스트셀러인 류머티즘 관절염 치료제 후미라 가격을 7.4% 올린 것을 비롯해 40개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가격 인상에 따라 후미라 매출은 올해 200억달러까지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브리스톨마이어스는 암치료제 레블리미드와 옵디보 가격을 각각 4.5%, 1.5% 인상하는 등 10여 품목의 값을 올렸다. 또 혈액 점도를 낮춰주는 엘리퀴스 가격은 6% 인상했다.
한편 미 약품 가격 인상 흐름은 2015년 이후 급격히 둔화돼 왔다. 인상 대상 약품, 인상폭 모두 둔화됐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