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농기계 제조업체 쿠보타, '포도 농장 로봇' 개발에 주력

글로벌이코노믹

일본 농기계 제조업체 쿠보타, '포도 농장 로봇' 개발에 주력

포도 농장 돌며 점검하고 다듬을 가지 선택해 전지 작업도
일본 농기계 제조업체 쿠보타가 포도 농장에 투입할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농기계 제조업체 쿠보타가 포도 농장에 투입할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쿠보타(Kubota)는 와인포도의 생육을 체크하는 AI 기계를 설계하고 포도밭 농장 로봇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쿠보타는 일본 오사카에 본사를 둔 산업기계(농기계, 건설기계 등), 건축재료, 철관, 산업용 디젤엔진 제조사이며 테슬라(Tesla)의 공동창업자이다.

쿠보타는 인공 지능으로 완벽히 제어할 수 있는 농업용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테슬라 공동 창업자이자 엔지니어인 이안 라이트(Ian Wright)를 영입했으며, 파트너십은 초기 와인 포도를 재배하는 기계연구 개발에서 시작했다.

일본의 농기계 제조업체는 라이트의 영입이 AI 및 자동화 제어 기술에 정통한 인력을 미국에 있는 새로운 연구소로 대거 끌어 들일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다.
쿠보타 출신 엔지니어를 포함해 약 50~60명의 엔지니어가 실리콘 밸리 및 기타 지역에 있는 장치 시설에서 근무할 것이다. 쿠보타는 향후 몇 년 동안 이 프로젝트를 위해 수천만 달러를 배정했다.

농업 기계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미국 기업인 존 디어(John Deere)는 이미 자율 ​​트랙터를 제공하고 있다. 쿠보타는 한 단계 더 진화된 기술을 실현하고자 한다.

포도 재배 로봇은 스스로 포도 농장 주변을 돌아다니며 점검하고 AI는 카메라 이미지를 분석하여 다듬을 가지를 선택하고 포도가 잘 자라는지 확인한다.

쿠보타는 재래식 농기구를 사용하는 미국 서부 해안 농장의 수요를 예측한다. 결국 회사는 로봇이 수확도 처리하게 할 계획이다.

작년에 쿠보타는 라이트가 기술 고문으로 일하고 있는 미국 스타트업인 디마그(Dimaag)-AI에 투자했다. 또 지난해 미국 자율주행기술 기업인 애그정션(AgJunction)을 자회사로 전환했다. 애그정션은 최신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농장에서 훨씬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AI를 적극 활용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쿠보타는 그동안 일본에서 관련 기술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이제는 숙련된 AI 엔지니어들이 대거 포진해 있는 미국에서도 이 같은 작업을 담당하게 됐다.

일본 농업부에 따르면 세계 식량 수요는 2050년까지 2010년 수준에서 70% 급증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산업화된 국가에서 농부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쿠보타는 이미 인간의 감시 아래 자율적으로 달릴 수 있는 벼농사 트랙터를 판매하고 있다. 이 회사는 계획된 농업로봇도 유럽과 기타 국가에서 거래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김세업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