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화웨이처럼?" 러시아, 우크라 도발땐 '반도체 제재'로 시장 위축 전망

공유
0

"화웨이처럼?" 러시아, 우크라 도발땐 '반도체 제재'로 시장 위축 전망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칩 공급 제재로 러시아 전자제품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칩 공급 제재로 러시아 전자제품 시장이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글로벌이코노믹
정치적 충돌은 경제에 타격을 준다. 특히 오늘날 실생활에 사용되는 모든 전자 제품에는 칩이 들어간다. 글로벌 칩 공급망이 불안한 가운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제재로 인해 부족한 전자 회로 및 칩의 러시아 배송 제한이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아가고 있다.

러시아는 독자적으로 고급 칩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생산할 여력이 없기에 관련 산업의 지연이 예상된다. 당분간 소비자들의 불편은 높아간다.
전문가들은 러시아에 대한 반도체 공급 제한 가능성을 미국의 중국 화웨이 제재와 비교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에서 러시아로 직접 배송이 거의 없다. 칩 시장은 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제조업체에서 제공된다.

2025년까지 반도체 웨이퍼 시장에서 한국은 16%에서 19%로, 중국은 12%에서 15%로 시장 점유율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대만은 TSMC 덕분에 이미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향후 몇 년 동안 시장 점유율을 68%로 늘릴 계획이다.

범용 전자 부품의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전 세계적으로 물류 체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제재의 결과는 전자 부품의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며 이는 업계에 피해를 줄 것이다.

러시아에서 반도체 칩 제조기술은 성공적이지 않다. 국내 생산은 틈새시장만을 차지한다. 다만 수입 부품은 오랫동안 군용 장비에 사용되지 않았다. 민간 분야에서는 러시아 전자 부품 시장의 70% 이상이 수입 제품이다.

많은 전문가에 따르면 전자 부품 기반을 구축하는 분야에서 러시아는 주요 국가보다 수십 년 뒤처져 있다고 한다. 러시아 제품은 너무 비싸고 성능이 충분하지 않고 에너지 효율이 낮다.

러시아는 세계 반도체 시장의 2%만 소비하지만 공작 기계, 조선, 모바일, 컴퓨터 및 가전제품을 포함해 90%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글로벌 칩 부족으로 인해 주요 반도체 제조사들은 가격을 대폭 인상했으며, 위조품 제조사들도 활발해졌다. 또한 주요 제조업체인 TSMC(대만)와 삼성(한국)도 정책을 수정했다. 아이폰용 프로세서와 자동차 제조업체용 칩을 최우선으로 제조‧판매한다. 다른 주문은 장기간 지연되어 배송된다.

대부분 전문가들은 반도체 부족 현상이 2023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본다.

글로벌 부족과 수입 의존 상황에서 러시아는 국내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시장에서 러시아 제품 점유율을 25%에서 70%로 늘릴 계획이다.

인센티브 보조금 형태로 투자해 이를 달성하려고 한다. 2023-2024년 기간 합계 연간 845억 루블의 자금이 계획되어 있다. 정부의 이러한 자체 칩 제조 의지는 시장에서도 호응하고 있다.

지난 가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마이크로 EMC(Macro EMC)' 제조업체 공장 공식 출범이 이루어졌다. 이 공장은 컴퓨터 기술 및 서버 장비용 모듈을 생산한다.

그러나 아직 실력이 떨어져 칩이나 부품 제조는 못하고 표면 조립만 한다. 계약 제조 방식으로 자체적으로는 아무것도 개발하지 않는다.

러시아 제5도시인 니즈니 노브 고로드(Nizhny Novgorod) 지역에서 컴퓨터 장비 제조업체인 리코 일렉트로닉스(Rikor Electronics)는 러시아 프로세서 기반 제품을 포함하여 서버, 랩톱 및 태블릿 생산을 위한 복합 단지를 시작했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ODM 모델에 따라 러시아에서 생산하는 컴퓨터 장비의 첫 번째 시작이다. 생산 능력은 연간 약 100만 개다.

회사는 새로운 칩 개발을 위해 정부로부터 94억 루블의 보조금을 받았다. 생산 제품은 태블릿 및 랩톱용과 강력한 서버다.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AMD 칩에 필적하는 특성을 가진 프로세서를 출시하는 것이다.

1992년에 설립된 러시아 마이크로프로세서회사 'MCST'도 프로세서를 개발 중이다. 하지만 최신 프로세서를 생산할 장비와 기술이 없다.

러시아 정부는 자국 칩 생산 및 보급 확대를 위해 외국산 수입을 제한하는 규칙을 강화하고 있다. 이에 거의 모든 국영기업, 독점기업, 주요 인프라(은행, 교통, 통신, 의료 시설 등), 일부 방위 기업까지 외국 IT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향후 러시아 컴퓨터 장비의 공공 조달과 관련하여 러시아 응용 프로그램이 하나 이상 있는 경우 외국 제품에 대한 응용 프로그램을 거부하도록 했다. 동시에 러시아 장비의 구매자는 구매 비용의 일부를 보상하기 위해 보조금 신청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정부는 올해 가을까지 전자 제품 구매 할당량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행정적인 책임을 묻는 법안을 의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내년부터는 국영기업과 정부기관이 PC의 60% 이상을 러시아 제품만 구매해야 한다. 그러나 시장에서 규제를 회피하고 있다. 성능 때문이다. 실제 공공 부문은 최근까지 할당량을 무시하고 있다.

ICT 분야 수입대체능력센터(Competence Center for Import Substitution)에 따르면 2021년 말까지 국유기업에서 러시아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표준 50% 기준임에도 30~35%에 불과했다.

가장 낮은 비율은 10% 미만인 러시아 은행 VTB, 국영항공사 아에로플로트(Aeroflot) 및 러시아 철도였다. 외국제품 결정에 심각한 의존도를 보였다.

2022년 국유기업 수입대체 할당량은 이미 60%, 2023년에는 70%에 달할 것이라고 한다. 현실과 목표에 괴리가 너무 크다.

한편, 소비자들의 불만도 크다. 가정용 전자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실망이다. 예를 들어, 러시아 제품들은 호환성이 부족하다. 이를 바로잡으려면 시간이 걸린다. 당분간 러시아 정부에 대한 불만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