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G-Military] 2030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갖게 될 5개국

공유
0

[G-Military] 2030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갖게 될 5개국

미국 영국 중국 인도 러시아(항모와 잠수함이 관건)

잠시 정박중인 핵 추진 잠수함 모습. 사진=로이터
잠시 정박중인 핵 추진 잠수함 모습. 사진=로이터
2030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갖게 될 5개국은 어디일까.

이집트 언론 알라하레가 최근 미국, 영국, 중국, 인도, 러시아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2030년경 예상되는 가장 강력한 해군은 세계의 더 다양한 상황을 반영할 것이다. 일부 국가는 기존 국제 질서를 유지하고 해군력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보고 투자하고 있으며, 다른 신흥 국가는 새로운 감각에 맞게 해군을 구축하며 그 강력한 해군의 질서에 도전하려고 하고 있다.

냉전 시대의 가장 강력한 해군이 유럽에 집중된 반면 유럽과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국방 예산 감소로 인해 해군력의 중국, 인도, 한국, 일본 등 동쪽으로의 이동은 2030년에도 계속될 것이다.

2030년이 되면 중국과 인도 등이 선두를 차지하려고 경쟁할 것이며 일본과 한국도 그에 못지 않은 대형 현대식 해군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장 강력한 해군 유형은 전투기를 통한 집중 폭격이 가능한 항공모함과 은밀히 침투해 중장거리 타격이 용이한 탄도 미사일 잠수함의 두 가지 범주로 정의된다.

항공모함은 전 지구적 또는 지역적 에너지 투사 능력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을 반영하고, 탄도 미사일 잠수함은 국가의 성숙도와 다양성을 반영한다. 기습 공격 시 2차 공격 능력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둔 핵무기를 포함하여 항공모함과 탄도 미사일 잠수함 이 두 가지 유형은 21세기 초중반의 해군력을 결정짓는 필수 요인이 될 것이다.

미국


1945년에 세계 최강의 해군력을 가졌던 미국은 2030년에도 3척의 포드급 항공모함 건조를 통해 계속 바다를 지배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니미츠급 항공모함 대체를 시작해 상륙함 수는 현재 수보다 약간 더 많아야 하며, 오하이오 탄도 미사일 잠수함을 대체하는 동급 첫 번째 함선은 2031년에 취역해야 한다.

수상함의 경우 3척의 줌월트급 순양함이 모두 운용될 예정이며(프로그램 자금이 완전히 지원되는 경우) 해군은 또 다른 33척의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을 건조하고 차세대 버전의 연안 전투함은 2030년에 생산에 들어간다.

현재 계획에 따르면 미 해군은 2019년에서 2034년 사이에 300척의 구축함 목표를 달성해야 하지만 그 기간 이후에는 수상 전투기의 수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미 해군의 패권은 단기간에 끝나지는 않지만 중국의 추격을 강하게 받게 되므로 2030년 이후가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영국


아이러니하게도 2030년 영국 해군은 영국 역사상 가장 작고 강력한 해군이 될 것이다. 두 척의 새로운 항공모함 진수, 40년 만에 해군에 고정익 항공기 비행 복원, 그리고 탄도 미사일 함대 결합 잠수함 배치 등으로 영국 해군은 수치상 상위 5위 안에 든다.

현재 19척의 구축함과 프리깃을 포함하는 영국 해군의 수상 함대는 6척의 Type 45 유도 미사일 구축함과 8척의 글로벌 콤뱃 쉽(Global Combat Ship)급 프리깃으로 축소되고 핵 추진 공격 잠수함의 수는 7대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영국 해군은 영국의 핵 억지력을 위해 현재 각각 16개의 트라이던트 D-5 발사관을 장착한 뱅가드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 4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2028년부터 뱅가드급을 선미급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영국이 해상에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은 항공모함급인 퀸 엘리자베스(Queen Elizabeth)의 형태가 될 것이며 두 척의 재래식 동력 항공모함인 퀸 엘리자베스와 프린스 오브 웨일즈(Prince of Wales)는 만재된 6만5000톤의 배수량과 최대 50대의 전투기를 실을 수 있다.

여기에는 전투 항공기와 헬리콥터가 포함되며 두 대의 항공모함은 선택적으로 최대 900여명의 왕립 해병대나 육군 16공수여단 병사를 수송할 수 있는 상륙 수송기를 운용해 전력을 배가할 수 있다.

중국


2030년 인민해방군(PLAN) 해군은 2016년 계획에 의해 계속 건조할 것이며 4개의 주요 함대 선체 계획을 하고 있다. Type 052D 유도 구축함, Type 054A 프리깃, Type 056 코르벳 그리고 Type 071 수송선 Amphibious의 4가지 설계로 모두 2030년에 대부분의 함대를 구성할 계획이다.

한 예측에 따르면 2030년까지 베이징은 잠수함 99척, 항공모함 4척, 구축함 및 프리깃함 102척, 순양함 26척, 상륙함 73척, 미사일 차량 111척을 보유하여 총 415척의 선박을 보유하게 된다.

이것은 중국을 선박 수로 세계 최대의 해군 강국으로 만들지만 총 선박 톤수에서는 그렇지 않다.

하이난 다오 군항에 정박중인 중국의 첫 국산 항공모함 모습 사진 출처 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하이난 다오 군항에 정박중인 중국의 첫 국산 항공모함 모습 사진 출처 뉴시스

그리고 중국은 정말로 415척의 선박에 도달할 수 있을까?

이 통계는 연간 생산되는 잠수함 수의 두 배, 구형 설계의 노후화에 따른 구축함 생산, 상륙함의 대규모 증가 필요성에 따른 자료이다.

또한 현재 운용 중이거나 건설 중인 유조선보다 2척의 유조선이 더 필요하며,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려면 계획 예산을 크게 증가해야 한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이 국방 예산 증가에 제동을 걸고 있어 달성 여부는 아직 미지수인 상황이다.

2030년에 중국 함대를 구성할 다른 건조 선박은 Type 055 구축함과 Type 001A 항공모함이며 Type 094 Jin을 보완하고 대체할 신형 탄도 미사일 잠수함일 가능성이 있다.

현재 운용중인 클래스 094는 수중 소음으로 악명이 높으며 중국의 300개 정도의 핵탄두 중 일부를 배치하기에 적합한 잠수함이 아니다.

인도


인도 해군은 이 목록에서 두 번째 아시아 해군(또는 러시아를 포함하면 세 번째)이 될 것이며 인도는 최근 해군 서비스에 막대한 자원을 쏟아붓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2030년까지 5위안에 들 수 있어 보인다.

인도는 2030년까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항공모함 함대를 보유하게 되며 3척이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인도는 비크라마디티야(Vikramaditya), 비크란트(Vikrant), 비샬(Vishal) 등 3척의 항공모함을 보유한다.(약 110-120대 항공기 항모 탑제)

북한 잠수함에서 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 사진=뉴시스
북한 잠수함에서 미사일이 발사되는 모습. 사진=뉴시스

인도는 또한 2척의 콜카타급, 3척의 델리급, 4척의 비사카파트남급 유도미사일을 포함해 최소 9척의 구축함을 건조할 예정이다.

이것은 인도가 현재 보유 운용중인 것보다 적고 인도가 3척의 항공모함을 보호하기 인도 해군의 프리깃 함대가 필요하나 거의 3분의 2가 2030년에 교체시기에 도달하는 만큼 현대적인 선체 수를 늘려야 한다. 특히 경쟁국인 파키스탄이 잠수함에 핵무기를 탑재하려고 할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인도는 첫 번째 아리한트(Arihant) 탄도 미사일 잠수함이 곧 운용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총 3척의 아리한트급 잠수함이 계획되어 있다.

러시아


연간 최대 6%의 경제성장을 이룬 러시아 곰은 최근 유가 상승 등으로 자산을 키워 해군 장비를 포함한 러시아 군사 장비의 90%를 교체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 러시아는 수상함에서는 미국 등에 대비 전자전에 취약하기에 상대적으로 전자전 영향을 덜 받기 위해 대부분을 탄도 미사일 잠수함 위주로 추진할 것이다. 각각 20개의 블라바(Bulava)급 미사일을 탑재한 8개의 보레이(Borei)급 잠수함이 두 번째로 큰 탄도 미사일 잠수함 함대를 구성하기 위해 운용될 것이다.

그리고 나머지 러시아 해군은 주요 수상 전투기, 잠수함 및 1척의 항공모함의 수가 줄어들면서 위축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희망이 있다. 자금을 모아 모스크바는 해군에 대한 큰 계획을 세웠고, 자금이 조달되면 여러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었다.

거대한 원자력 추진 라이더(Lider)급 구축함도 있다. 라이더급은 무게 1만7500톤, 길이 200m로 구축함보다는 순양함에 가깝다. 무장은 대함 순항 미사일 60문, 대공 미사일 128문, 대함 유도 미사일 16문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군함은 2019년에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12척의 군함이 취항할 예정이다.


이상욱 글로벌이코노믹 국방전문기자 rh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