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국, 호주에 7년 내 첨단 재래식 잠수함 건조 제안

공유
2

한국, 호주에 7년 내 첨단 재래식 잠수함 건조 제안

호주의 원자력 잠수함 추진중 재래식 잠수함 건조 여부 따라 사업 진척 전망

호주 해군이 운용중인 콜린즈급 잠수함으로 여러 문제로 인해 차기 잠수함 검토사업이 진행중이다. 사진=로이터
호주 해군이 운용중인 콜린즈급 잠수함으로 여러 문제로 인해 차기 잠수함 검토사업이 진행중이다. 사진=로이터
주호주 한국 대사와 호주 고위 관리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호주 캔버라 만찬에서 한국은 “서명에서 인도까지 7년 안에 첨단 재래식 공격 잠수함을 건조할 것”을 과감하게 제안하면서 호주와의 방위 관계를 심화하겠다는 열망을 분명히 했다고 최근 외신들이 전했다.

현재 호주가 운용중인 콜린스급 잠수함이 첫 번째 호주산 핵 추진 잠수함이 배치될 때까지 작동할 수 없으면 호주는 전력 공백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콜린스는 이제 2030년 정도까지 안전하게 항해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호주가 2040년이 가까워질 때까지 첫 번째 핵 추진 잠수함을 진수시킬 수 있다고 믿는 전문가는 거의 없다. 호주가 호주에서 건조하는 미국 또는 영국 방식의 핵 추진 잠수함(8척 예상) 사업 채택을 할지 여부를 내년 3월까지 발표할 계획이다.
호주 정부도 그때쯤이면 호주에 전력 공백을 채울 잠수함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국은 이미 호주 육군을 위한 450대의 레드백 보병 전투 차량에 대한 첫 번째 계약을 수주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중이다. 한국의 방산업체인 한화디펜스가 독일의 라인메탈을 제치고 큰 계약을 따낼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 한화디펜스 오스트레일리아는 3만2000㎡ 규모의 신축 센터에서 격년제 에어쇼가 열리는 호주 빅토리아 아발론 공항에서 자주포 30대와 탄약보급장갑차 15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12월에 10억 호주달러(미화 7억 달러)의 순익을 달성했으며 올해 초 새 시설에 대한 작업을 시작했다.

호주 하원은 호주 잠수함을 미국 잠수함과 함께 훈련시키기 위한 법안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목요일 저녁 만찬에서 강정식 주호주 한국 대사와 여러 한국 국방부 고위 관리들과의 대화가 주는 메시지가 분명해지면서 각 프로그램 그 자체는 호주와 더 광범위하고 깊은 방위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들은 대사관 무관 및 다수의 한국 회사 관계자들과 함께 참석했다. 3시간 30분 동안 9명의 연사가 레드백(Redback) 장갑차, 지난주 초음속 KF-21 전투기의 첫 비행, 잠수함, 저궤도 국가 통신 시스템 등에 대해 연이어 설명했다.

한국 관리들을 응대하기 위해 약 20명의 호주 국방부 관리들이 있었다. 윌리엄 패터슨(William Paterson) 전 주한 호주 대사, 그리고 사실상 여러 국방 기자, 저녁 식사를 하기 전에 한국의 군 관계자들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조용한 재래식 공격 잠수함인 한국이 제안한 KSS-III의 두 가지 모델과 SLBM 또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을 처리할 수 있는 동력 잠수함에 대해 청취했다..
미군의 오하이오급 핵추진 잠수함 부산항 정박 모습. 사진=로이터
미군의 오하이오급 핵추진 잠수함 부산항 정박 모습. 사진=로이터

한국인들은 공기불필요(AIP)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형 리튬 배터리를 언급하면서 프레젠테이션을 하였는데 만찬 중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 보였고 양측의 진지함과 활기도 넘쳤다. 3700톤급 잠수함의 순항 범위는 장거리 순항에 사용되는 고급 디젤 엔진과 AIP의 조합으로 인해 증가한다. 한국인들은 또한 잠수함이 승무원의 사기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편안한 숙식을 자랑한다고 말했다. 그것은 잠수함을 유치하는 데 문제가 있었던 호주의 판매 포인트가 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우려를 완화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열광적인 발언에도 불구하고 만찬에서 방위비 조달과 관련된 합의는 호주가 한국의 제안을 수락하기 전에 호주가 역량 격차가 있는지, 원자력 잠수함 사업이 얼마나 오래걸릴지에 따라 변수가 생길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호주가 원자력 잠수함을 추진하면서 재래식 잠수함까지 건조할 여유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사업 전망이 달라질 수 있다.


이상욱 글로벌이코노믹 국방전문기자 rh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