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사우디, 900만명 거주할 사막도시 '더 라인' 세부 정보 공개

공유
2

사우디, 900만명 거주할 사막도시 '더 라인' 세부 정보 공개

사우디아라비아가 건설한 더라인 홍보영상 중 일부. 사진=네옴더라인사우디아라비아이미지 확대보기
사우디아라비아가 건설한 더라인 홍보영상 중 일부. 사진=네옴더라인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가 170㎞에 걸쳐 900만 명이 거주할 수 있는 사막의 빌딩 도시로 계획한 '더 라인'의 세부 내용을 공개했다.
미래 도시는 넴(Neom) 프로젝트의 일부로 완성까지 수년이 걸리는 거대한 계획이다.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의 발표에 따르면, 미래도시는 홍해 근처 북서쪽에 위치하게 될 것이라고 28일(현지시간)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자료에 따르면 ‘더 라인’은 수직 도시 역할을 하는 200미터 넓이의 건물로, 해발 500미터에 설계된다. 이 도시면적은 34㎢가 될 것이라고 한다.
‘더 라인’은 도로, 자동차와 배기가스 없이 재생 가능한 에너지만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이 곳에는 고속열차가 들어서 각 지점을 연결하게 된다.

비평가들은 이 프로젝트가 기술적으로 실행 가능한지 의문을 제기하는 한편, 다른 비평가들은 홍보 비디오에서 드러난 비전을 ‘디스토피아적’이라고 묘사했다.

‘더 라인’은 비전 2030이라고 불리는 사우디아라비아 재배치 계획이며, 두바이, 아부다비와 같은 도시를 갖고 있는 이웃 국가 아랍에미리트와 경쟁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를 재편하여 여행 중심지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년대 말까지 1억 명의 방문객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수십억 달러의 지역경제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미러 마천루의 디자인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넴 프로젝트의 최근 발전을 기념하며, 3개 국가에 걸친 초대형 개발로 2019년에 건설이 시작되었다.
이 대도시는 청정에너지로 작동하게 되고 인공지능의 도움으로 작동하게 될 것이다. 로봇 가정부, 하늘을 나는 택시, 거대한 인공 달이 생기게 될 예정이다.
빈 살만은 보도자료에서 "라인"은 오늘날 도시 생활에서 인류가 직면한 문제에 도전할 것이며 대안적인 삶의 방식을 조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라인을 성공적으로 건설하기 위해서는 사우디의 여러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먼저 사우디아라비아는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 3월, 수십년 만에 가장 큰 규모의 대량 사형 집행으로 81명의 남성이 목숨을 잃었다. 빈 살만은 이와 함께 사우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를 생포해 살해하는 작전을 승인했다고 미 정보당국이 보도했다.
왕세자가 카슈끄지 살해 지시 사실을 부인하는 가운데, 국제사회의 비난이 확산되자 그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밝혔다. 빈 살만은 2019년 CBS와의 인터뷰에서 "이것은 극악무도한 범죄였다. 하지만 특히 사우디 정부를 위해 일하는 개인들에 의해 저질러졌기 때문에, 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도자로서 모든 책임을 지겠다."고 밝혔다.

노동개혁도 시급하다. 사우디 정부는 주기적인 노동 개혁을 도입했지만, 제한된 성격과 느슨한 적용은 이민 노동자들에게 착취적이고 위험한 관행을 계속하게 만들었다.
휴먼라이워치 보고서에 따르면 수백만 명의 이민자들이 대부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육체적, 행정적, 서비스적 일을 하고 있으며, 이는 민간 부문 노동력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이 단체는 카팔라로 알려진 사우디의 비자 스폰서 제도를 강하게 비난했다.
2021년 3월 휴먼라이츠워치 보고서는 "지난 10년간 다른 걸프 국가들도 악명 높은 카팔라 제도 개혁에 착수했으며 대부분 사우디 당국보다 더 중요한 개혁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처럼 대대적으로 진행된 프로젝트에서 전 세계적으로 실패한 프로젝트들이 있다.
2009년 이웃나라 두바이에서는 나킬 항구와 타워의 개발이 제안 6년 만에 취소되었다.
중국 정부는 내몽골 지역의 강바시(Kangbashi) 시가 건설에 10억 달러(약 1조2991억 원) 이상의 자금을 투입해 1백만 명이 넘는 주민을 수용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2016년에 예상 수의 10%만 수용했다.
비슷한 유령 도시 케이스는 중국 톈진의 위자푸(Yujiapu) 금융 지구와 미얀마의 수도인 네피도(Naypyidaw)가 있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