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CAC는 ‘딥페이크(Deepfake)’ 기술과 서비스를 더 엄격하게 단속하기 위한 조치로 새로운 규제를 적용키로 했다.
오리지널과 구별하지 못하고 인상조작과 유언비어에 사용되기 쉬운 딥페이크 화상과 영상에 의한 위장으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조치다.
CAC는 이번 규제에 대해 딥 러닝(심층학습)과 가상현실(VR)을 사용해 모든 온라인 콘텐츠를 변경하는 플랫폼(중국 당국은 이를 딥합성서비스 제공자로 규정)이 제공하는 활동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는 리스크를 제어하는 한편 업계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규제라고 설명했다.
박경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jcho1017@g-enews.com




















![[글로벌 SMR] AI 전력난, ‘소금 연료’와 ‘3D 프린팅’이 뚫는...](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609421302802fbbec65dfb591524497.jpg)

![[초점] 삼성, 2400조 시장 뚫을 비기(祕技)는 AI 아닌 '힌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610365407964fbbec65dfb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