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의 치졸한 보복?…'비자중단' 이어 한국발 입국자만 공항서 코로나 검사

글로벌이코노믹

中의 치졸한 보복?…'비자중단' 이어 한국발 입국자만 공항서 코로나 검사

중국 강제격리 폐지 첫날인 지난 8일 홍콩발 베이징행 항공편을 이용해 베이징 서우두 공항에 도착한 승객들이 입국장을 빠져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강제격리 폐지 첫날인 지난 8일 홍콩발 베이징행 항공편을 이용해 베이징 서우두 공항에 도착한 승객들이 입국장을 빠져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중국 정부는 한국인 비자중단에 이어 한국발 입국자만 공항에서 코로나 검사를 시행키로 했다. 이는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한국의 방역 강화 조치에 맞선 대응으로 보인다.

31일 정부에 따르면 중국 민항국은 이날 한중 간 노선을 운영하는 한국과 중국 항공사에 보낸 통지를 통해 2월 1일부터 한국발 중국행 직항 항공편에 탑승한 사람에 대해 입국 후 코로나19 검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검사 결과 양성으로 나오면 해당 입국자는 재택 또는 시설 격리를 하거나 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중국이 그동안 고수하던 제로 코로나를 폐지하고 경제 재개방을 추진하던 행보와는 정반대다.

주중한국대사관도 홈페이지를 통해 "중국 정부는 외교 경로를 통해, 한국발 중국 도착 직항 항공기 탑승객 전원을 대상으로 입국 후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의무화하고, 양성 판정시 자택 또는 숙소 격리를 시행할 예정임을 알려왔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8일자로 해외발 입국자에 대한 의무적 격리를 폐지하면서 입국자에 대한 전수 PCR 검사도 폐지한 바 있다.

중국이 이처럼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검사 방침을 통보한 것은 한국 정부가 지난 2일부터 모든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후 PCR검사를 실시하는 데 대한 상응 조치로 풀이된다.

중국 외교부는 이와 관련, "대등한 조치를 취할 이유가 있다"며 이번 조치가 방역 수요에 따른 것이라기보다는, 한국의 조치에 대한 상호주의적 맞대응이라고 밝혔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