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OPEC, 원유생산 회의에 글로벌 언론사 배제 논란

공유
1

OPEC, 원유생산 회의에 글로벌 언론사 배제 논란

로이터통신·블룸버그통신·월스트리트저널 기자 초청 거절

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앞 원유채굴기 모형.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앞 원유채굴기 모형. 사진=로이터
이번 주말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리는 중요한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생산 회의에 몇몇 주요 언론매체들의 참석이 금지되었다고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이 31일(이하 현지 시간) 전했다.

이는 최선을 다해 원유가격을 지지하려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조치라고 복수의 관리들 말을 인용해 보도되었다.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로이터통신·블룸버그통신·월스트리트저널의 기자들은 OPEC의 빈 본부 초청이 거절당했다고 전했다. OPEC은 이번 일요일 러시아를 만나 하반기 원유생산 정책에 합의할 예정이다.

이번 언론사 초청 거절은 특히 세계 경제가 초인플레이션에 고통받고 있는 시기에 회의 결과의 헤드라인이 전 세계의 유가와 금융시장을 요동치게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OPEC+에게는 이례적인 경우이다.

미디어 그룹을 제외할 어떠한 사유도 제시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이번 결정 과정을 잘 알고 있는 관계자들은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의 이복형이자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인 압둘아지즈 빈 살만 왕자가 사우디의 경제적 생명선인 원유가격 인상 압력을 높이고 있다고 전했다.

압둘아지즈 장관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에너지 위기에 유가 상승을 주도하며 미 행정부와의 갈등 국면을 초래하는 가운데 지난 10월부터 OPEC와 러시아를 포함한 OPEC+ 그룹을 이끌어오고 있다.

초청이 거절된 것으로 알려진 뉴스 기관들은 비록 OPEC 사무국에는 접근할 수 없다 하더라도 여전히 빈에 기자들을 파견할 것으로 예상된다.
OPEC의 언론 취재 열기는 업계에서도 유명하며, 회의 때마다 각국 장관들은 고급 호텔 로비에 진을 치고 있는 기자들에게 시장을 움직일 수 있는 발언들을 쏟아내는 경향이 있다.

빈에서의 언론 보도는 업계에서 유명한 혼란스러운 것으로 유명한데, 장관들은 회의에 앞서 고급 호텔 로비에 진을 친 기자들에게 시장을 움직이는 발언을 전달하는 경향이 있다.

때때로 OPEC 회의가 어떠한 합의나 공식 발표도 없이 결렬되는 경우 기자들의 치열한 추적 경쟁이 빈 거리를 채우기도 한다.

지난 4월 회의 소집도 없이 OPEC+는 전격 감산을 발표해 지난 10월 마지막 회의에서 합의한 감산 규모를 대폭 늘렸다.

그러나 그 추가 감산 합의에도 불구하고 원유가격 상승은 고사하고 비슷한 가격 지지에 그쳤을 뿐이다. 브렌트유는 배럴당 약 73달러에 거래되고 있는데, 이는 감산 발표 이후 약 10% 하락한 것이다.

많은 에너지 분야 애널리스트들은 원유가 하락이 압둘아지즈 왕자에 큰 압박을 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최근 몇 주 동안 석유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무역업자들부터 OECD 자금지원을 받는 국제에너지기구(IEA)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독설을 퍼부어 왔다.

한때 석유 거래자들이 자신과 반대로 베팅하면 "지옥에 있듯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말한 바 있는 압둘아지즈 왕자는 지난주 공매도자들에게 유가 하락 베팅을 지속할 경우 "조심하라"는 경고장을 날렸다. 유가 하락 거래는 세계 경제 침체 우려 속에 점차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 가스프롬과 석유 거래를 했던 전 에너지 무역업자 아디 임시로비치는 압둘아지즈 왕자가 OPEC+그룹이 다시 원유 감산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자신을 궁지로 몰아넣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압둘아지즈 왕자가 파급효과에 대해 생각없이 말하고 있다. 만약 시장에서 감산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믿게 하고는 그러지 않는다면 가격은 추가 하락할 것이다. 사우디가 감산하고, 러시아는 감산하지 않는다면, 사우디 등 중동국가는 아시아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추가로 포기하는 것을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사우디는 지금 홍해 앞바다에 초현대적 네옴 도시 건설 등 여러 "기가 프로젝트"를 포함해 모하메드 왕세자의 야심 찬 사회 경제 개혁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금 조달을 위해 더 높은 유가를 요구하고 있다.


이진충 글로벌이코노믹 국제경제 수석저널리스트 jin2000k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