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 기업들, 거액 걸고 AI 인재 확보 경쟁…넷플릭스 “연봉 최고 12억”

글로벌이코노믹

미 기업들, 거액 걸고 AI 인재 확보 경쟁…넷플릭스 “연봉 최고 12억”

아예 AI 연구원, 데이터 과학자 보유 AI 업체 인수하기도
“AI 인재 구하기 어렵고 몸값 비싸. 까다롭기까지”
미일 양국 간 금리 차 확대 예상, 엔화 매도세
미국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전문가 채용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연합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기업들이 인공지능(AI) 전문가 채용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연합
;미국 기업들이 거액의 연봉을 내걸고 인공지능(AI) 전문가 채용 경쟁에 나서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데이터 과학자나 머신러닝 전문가 등 AI 인재가 수요에 피해 매우 부족해 몸값이 치솟고 있다.

최근에는 동영상 스트리밍 공룡 넷플릭스가 지난달 무려 연봉 90만 달러(약 12억원)에 머신러닝 플랫폼 매니저를 뽑는 구인 공고를 낸 것이 화제가 됐다.

유통, 금융, 제조 분야도 AI 전문가가 필요한 것은 마찬가지다. 월마트는 대화형 AI 담당자를 뽑으면서 연봉을 최고 25만2000달러(3억3000만원), 골드만삭스는 생성형 AI 엔지니어를 최고 25만 달러를 제시했다.
부동산 업체 JLL도 AI 전문가를 구하느라 애를 먹는 상황이다. 한 지원자가 왜 부동산 분야에 AI 엔지니어가 필요하냐고 묻는 일도 있었다.

이에 업체 관계자는 “수십 년에 걸친 자산 데이터가 있다”며 “빌딩 관리, 에너지 절감, 매매가 책정 등을 지원하는 AI 모델 훈련에 쓰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기업 인사 담당자들은 AI 업무에 필요한 수학, 통계학, 프로그래밍, 엔지니어링에 숙련됐으면서도 업계 전문성을 겸비한 중간 관리자급이 특히 부족하다고 업계의 상황을 전했다.

컨설팅 업체인 액센츄어는 내년 AI 인력 1000명 이상을 신규 채용 중인데, 수많은 지원자가 ‘다른 회사에서도 입사 제안을 받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이 업체 관계자는 “모든 곳에서 AI 인력을 채용 중”이라며 연봉으로 최고 33만8300달러(4억5000만달러)를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아예 AI 연구원, 데이터 과학자를 보유한 AI 업체를 인수하려는 기업도 있다.

IT 플랫폼 업체인 서비스나우는 2020년에 이어 최근에도 소규모 AI 업체를 인수했다면서 “AI 인재는 구하기 어렵고, 몸값이 비싸다. 그들은 까다롭기도 하다”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