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현지 시간) 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2024년도 예산 요구안을 통해 생성AI(인공지능)와 양자통신 등 첨단기술의 개발 촉진에 589억 엔(약 5416억 원)을 요청했다. 일본어를 중심으로 한 학습용 데이터 기반 정비를 추진하고, 민간기업에 개방해 '국산' 생성AI 개발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총무성이 관할하는 정보통신연구기구(NICT)가 생성AI의 기반 기술인 '대규모 언어모델(LLM)' 개발에 필요한 언어 데이터를 정비한다.
LLM 개발을 위해서는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 오픈AI의 챗GPT로 대표되는 해외의 생성AI는 학습 데이터가 외국어에 편중돼 일본어보다 영어로 생성되는 문장의 정확도가 훨씬 높다.
NICT는 고품질의 일본어 중심의 언어 데이터 기반을 민간기업에 개방하는데, NEC, NTT, 소프트뱅크 등이 생성AI 개발을 표명하고 있어 이들 기업이 제공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
NICT가 개발한 다국어 음성 번역 앱 '보이스트라'에서 쌓은 언어 데이터 개발 노하우를 활용할 방침이다. 생성AI에 의해 생성되는 허위 정보 위험을 억제하는 기술 개발 및 실증도 동시에 진행한다.
589억 엔(약 541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첨단기술 개발 가운데 양자통신 분야 연구개발에는 2023년 당초 예산 대비 10% 증가한 395억 엔(약 3629억 원)을 투입한다. 양자암호통신망은 양자역학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암호화하는 통신망으로 기존의 암호통신보다 훨씬 안전하며, 해킹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가와 국내 중요 기관 간 기밀정보의 안전한 교환을 위해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이 절실하다.
첨단기술 강화책 외에 디지털 기반 정비 관련 비용은 585억 엔(약 5376억 원)으로 책정됐다. 신규 사업으로 일본과 해외를 연결하는 국제 해저 케이블 정비를 위한 조사비로 5000만 엔(약 4억5955만 원)이 책정됐다.
한편 총무성 전체 예산 요구액은 일반회계에서 사항요구액을 제외하면 2023년도 당초 예산보다 1조16억 엔(9조2058억 원, 6%) 증가한 17조8641억 엔(약 164조1972억 원)이다. 지자체에 배분하는 지방교부세는 특별회계 전입금을 포함해 2079억엔(약 1조9116억 원, 1%) 증가한 18조5690억 엔(약 170조7419억 원)으로 나타났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