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호주, 10월 14일 개헌 국민투표…인근 前 지도자들 호소 잇달아

글로벌이코노믹

호주, 10월 14일 개헌 국민투표…인근 前 지도자들 호소 잇달아

호주 원주민 국기를 묘사한 원주민 소장품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호주 원주민 국기를 묘사한 원주민 소장품 사진=로이터
호주에서 다음 달 14일(이하 현지시간)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가 실시된다.

이번 개헌의 주된 내용은 호주 원주민들을 헌법상 인정하고, 원주민과 토레스 해 섬 주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 수립을 위한 자문기구 설치다.

앤서니 앨버니지 현 호주 총리는 지난해 당선 이후 퍼스트 네이션(Firtst Nations) 문화를 포용하는 외교 정책을 주요 과제로 삼았다. 또한 여기에 중국과의 경쟁에서 호주 원주민들의 태평양 섬들과의 역사적 무역 관계를 현대적 유대의 강력한 기반으로 삼아왔다.

그런 차원에서 지난 3월 호주 원주민을 위한 대사가 임명됐다.
또한 7월 태평양 제도를 방문 중이었던 저스틴 모하메드 대사는 바누아투 한 방송국 인터뷰에서 "이번 국민투표는 호주가 매우 중대한 시기를 맞고 있음을 의미하며, 호주 국민들 사이 많은 찬반 토론이 있었음을 인정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투표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호주 원주민들이 수 세기 동안 태평양 제도들과의 무역으로 연결돼 왔음을 계속해 강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호주 내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번 국민투표가 부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로이터 등 외신은 19일 전했다.

이에 前 태평양 제도 지도자들은 호주 국민들의 양심에 호소하고 나섰다.

여기에 참여한 지도자에는 아노테 통 전 키리바시 대통령, 토미 레멩게사우 전 팔라우 대통령, 힐다 캐시 하이네 전 마셜 제도 대통령 등 전직 지도자와 외교관 8명으로 이들 또한 태평양 섬나라 원주민으로서 전통적인 공동체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다고 밝혔다.

그들은 이 역사적인 헌법 개정 발의가 실패할 경우 태평양지역에서 호주의 이미지가 크게 훼손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그 퍼시픽 엘더스 보이스 그룹은 성명을 통해 "우리는 호주 원주민들이 스스로 직면한 불의를 시정하려는 그 추진력을 지지하며, 호주 국민들이 헌법적으로 명시된 의회를 향한 이 첫걸음을 지지해 줄 것을 그들의 양심에 호소한다"고 밝혔다.

그들은 국민투표 통과가 퍼스트 네이션스 국민들과의 약속을 향한 '첫걸음'이 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헌법 개정을 위해 국민투표는 6개 주 중 최소 4개 주의 과반수 찬성은 물론이고, 국민 과반수 찬성이 필요하다. 1901년 호주 독립 이후 44번 개헌안 중 8번만이 국민투표 찬성을 얻었다.

줄리 비숍 전 외무장관은 개헌 반대는 호주의 국제적 명성에 매우 부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인구의 약 3.8%를 차지하는 호주 원주민들은 그동안 차별, 열악한 보건 및 교육, 높은 수감률 등의 불이익을 받아 왔다.

국민투표의 찬성과 반대 목소리는 극명하게 갈린다.

지지자 측은 "의회에 대한 목소리가 원주민들의 공동체에 진전을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반대론자들은 "그 공동체에 과도한 권한이 이양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진충 글로벌이코노믹 국제경제 수석저널리스트 jin2000k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