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이스라엘, 사우디에 핵프로그램 지원 검토”

공유
0

“美·이스라엘, 사우디에 핵프로그램 지원 검토”

이스라엘·사우디 수교 조건으로 우라늄 농축 허용 논의

바이든 대통령(오른쪽)과 네타냐후 총리가 20일 뉴욕에서 회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바이든 대통령(오른쪽)과 네타냐후 총리가 20일 뉴욕에서 회담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 추진에 미국의 민간 핵 프로그램이 끼어드는 모양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1일(현지 시간) 미국과 이스라엘이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수교 조건으로 사우디에 미국의 우라늄 농축 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이스라엘 당국자는 “네타냐후 총리가 이스라엘 핵·안보 최고위 전문가들에게 이 같은 방안과 관련해 미국 측과 협력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외교 성과를 내기 위해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이 방안이 실현된다면 사우디는 이란에 이어 공개적으로 우라늄 농축을 하는 두 번째 중동 국가가 되며 이스라엘로서는 사우디와의 외교 관계 수립으로 다른 이슬람권 국가들에게도 좋은 선례가 될 수 있다.

사우디 내에서 우라늄 농축을 허용하는 방안의 논의 자체만으로도 중동 국가들의 핵 능력 개발을 꺼려온 미국이나 이스라엘의 정책 대전환을 의미하게 된다.

그렇지만 현실은 그리 녹록지만은 않다. 사우디 내 우라늄 농축 시설을 가동하게 되면 중동 내 군비 경쟁을 부추길 위험이 있다는 부정적인 견해도 많다.

또 이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사우디 내 우라늄 농축을 허용하는 구상을 승인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엘리 코헨 이스라엘 외무부 장관은 “사우디와 이스라엘의 관계 정상화의 틀에 대한 합의가 내년 초에는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금부터 4∼5개월 후인 내년 1분기에는 분명히 그럴 가능성이 있다. 우리는 그때 구체적인 합의가 마무리되는 시점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종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85kimj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