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인도, 노트북·PC 등 수입 제한 1년 연기 검토

공유
0

인도, 노트북·PC 등 수입 제한 1년 연기 검토

인도가 노트북, 태블릿, PC 등 수입 제한 조치 연기를 검토 중이다. 2022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애플의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에서 M2 칩이 탑재된 신형 맥북 에어가 전시되어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인도가 노트북, 태블릿, PC 등 수입 제한 조치 연기를 검토 중이다. 2022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애플의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에서 M2 칩이 탑재된 신형 맥북 에어가 전시되어 있다. 사진=로이터
인도 정부가 노트북, 태블릿, 개인용컴퓨터(PC)에 대한 수입 제한을 1년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23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수입 제한을 연기하는 한편, 새로운 수입 절차 등록을 요청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전자정보기술부는 22일 회의에서 수입 제한 조치 대신 11월부터 더 간단한 수입 등록 절차를 제안했다고 전했다.

인도 현지매체 이코노믹타임스에 따르면 노트북과 태블릿 등의 수입 허가 절차는 인도 상공부 산하 대외무역총국(DGFT)이 관리하는 '수입 관리 시스템'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이 포털은 휴대폰, IT 및 통신 제품을 취급, 9월 말부터 가동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지난달 3일부터 노트북, PC 등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해당 제품을 수입하기 위해선 수입이 허용된다는 특정 라이선스를 취득해야만 인도로 반입할 수 있다.

이는 현지 제조업을 활성화하고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풀이된다. 인도 정부는 메이크 인 인디아'라는 슬로건으로 현지 제조업을 육성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그러나 이 계획은 업계의 반대에 부딪혔다. 특히 연말 연시에 노트북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삼성, LG, 애플, 델, HP 등 주요 업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으나, 업계 반대에 힘입어 3개월 정도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인도 휴대폰 및 전자 협회 (ICEA)는 인도 전자정보기술부에 수입 허가 요건과 그에 따른 할당량 결정을 재고해달라고 요청했다.

ICEA는 기업들이 아직 국내에서 PC, 노트북 및 서버를 대규모로 제조 할 준비가되어 있지 않아 소비자 전자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또한 국내 생산 확대 전까지 공급망 중단을 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공급이 줄어들면 사람들이 물건을 쌓아두게 되고, 이는 시장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오르면서 학생은 물론 스타트업, IT 기업, BPO 등 디지털 경제 성장의 핵심 분야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인도 정부는 이번 제한이 수입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라 국내 제조를 통한 수출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노훈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unjuro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