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동성이 큰 신선식품 비용을 제외한 전국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0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상승해 로이터 여론조사에서 경제학자들이 예상한 3.0%를 밑돌았다.
근원 인플레이션은 8월 3.1%에서 9월 2.8%로 둔화됐는데, 이는 2022년 8월 이후 처음으로 3% 아래로 떨어졌다.
인플레이션율은 19개월 연속 BOJ의 인플레이션 목표인 2%를 상회했지만, BOJ는 비용 압박이 주로 글로벌 원자재 가격 상승과 엔화 약세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지 강세에 따른 지속 가능한 물가 상승의 신호는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많은 분석가들은 BOJ가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목표를 더욱 유연하게 만들어 국채 수익률이 1%에 가까워짐에 따라 수익률 통제 정책이 쓸모없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강해지면서 BOJ가 머지않아 마이너스 금리 정책과 10년 만기 국채수익률을 0%로 제한하는 수익률곡선 통제를 포기해야 할 것이라는 추측이 커지고 있다.
BOJ는 현재의 글로벌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말하면서 그러한 추측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국내 수요와 물가를 촉진하려면 건전한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신 인플레이션 데이터는 BOJ가 올해 마지막 예정된 검토인 12월 19일에 끝나는 이틀 간의 정책 회의에서 주목하게 될 지표 중 하나다.
정부도 직원들의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기업들에 임금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BOJ 피벗 베팅 증가
BOJ가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 부양책을 축소할 것이라는 전망은 최근 몇 달 동안 투자자들 사이에서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로이터 통신이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BOJ가 내년 말까지 마이너스 금리를 종료할 가능성이 60%라고 예상하고 있다.
BOJ의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정책위원회 위원들 사이에서도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10월 정책 회의에서 위원 12명 중 6명이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하기 위해 통화 정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임금 인상 압박
일본 정부도 국민들의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기업들에 임금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최근 "임금 인상이 경제 활성화에 필수적"이라며 기업들에게 임금 인상을 촉구했다.
정부는 기업들이 임금을 인상할 경우 세금 감면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일본의 임금 인상률은 지난 20년 동안 평균 0.5% 미만을 기록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해 임금 인상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본 기업의 70% 이상이 내년 임금을 인상할 계획이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