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日, 오징어-꽁치가 사라졌다…온난화·남획·늦은 산업화 ‘3중고’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비즈

공유
2

日, 오징어-꽁치가 사라졌다…온난화·남획·늦은 산업화 ‘3중고’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사진=로이터

일본의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오면서 수산업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온난화와 남획, 늦어진 산업화, 인력 부족 등이 겹치면서 폐업하는 어부들이 속출하는 상황이다.

23일 닛케이는 일본에서 물고기가 줄어들고 있는 사태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온난화로 인한 해수온도 변화 등으로 생육 환경이 변하면서 오징어 어획량이 전성기의 5%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수산청은 오징어 어획량이 1968년에 약 66.8만 톤으로 정점에 달했지만, 2021년에는 약 3.2만 톤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했다. 꽁치도 전성기의 3%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굳이 어종으로 분류하지 않아도 일본 어획량은 급감하고 있다. 농림수산성의 연근해어업생산통계조사에 따르면 1984년 어획량은 약 1150만 톤이었으나 2021년에는 약 319만 톤으로 4/1 수준으로 줄었다. 전국 유수의 어획량을 자랑하는 하치노헤 항구가 있으며, 고등어, 오징어 등의 어종에서 일본 내 제일의 어획량을 자랑하는 아오모리현은 2023년 어획량 11만7000여 톤을 기록해 전년 대비 11% 감소했는데 이는 1958년 조사 시작 이후 역대 최소 수치인 것으로 집계됐다.

자연스럽게 수산업자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지지통신은 21일 이시카와현 노토초의 '오징어 마을' 오기항에서 어부들의 폐업이 늘고 있다고 보도했다. 어획량 급감에 고령화에 신음하고 있는 가운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노토반도 지진과 쓰나미로 수많은 어선과 장비가 파손되었다는 것이다.

지지통신은 “홋카이도 하코다테, 아오모리 하치노헤와 함께 일본 3대 오징어 어항으로 알려진 오기항은 지난해 폭염과 외국 선박의 남획으로 예년보다 크게 줄어든 약 800톤을 수확하는 데 그쳤다”라며 “여기에 설날 닥친 지진과 쓰나미로 소형선박 100여 척 중 40%가 침몰하거나 전복, 파손됐고 부두가 무너지는 등 항만 시설 기능도 크게 저하됐다”라고 전했다.

문제는 이런 총체적 난국에 묘안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어획량 급감은 장기간에 걸친 자연 파괴로 인한 온난화의 영향이 크다. 수산청에 따르면 오징어 최대 산란장인 동중국해의 수온이 상승해 타격을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 일본 인근해는 심각한 난개발로 물고기 살 수 있는 환경이 아니게 된 지 오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종 전환이 필수적인데, 막대한 인프라 투자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걸림돌이다. 고정식 그물을 새로 설치하려면 1억 엔이 소요되고, 재해 복구 지원 사업 대상에 포함되더라도 10%는 부담해야 한다. 수입이 줄어들고 있는 어촌에서 부담할 수 있는 금액이 아니다. 만약 후계자 등이 양성되어 미래를 바라볼 수 있다면 과감한 투자도 진행될 수 있지만 어획량이 줄어들고 있는 어촌에 새로운 인력이 유입되리라는 기대는 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육상양식 등으로 어업을 산업화하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일본 정부의 인프라에 대한 투자와 표준화 연구 등의 성과도 지지부진하다.

저출산 초고령화로 인력난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자연 파괴와 남획이 어획량 급감으로 직결되고, 늦은 산업화가 더해져 일본 수산업의 심각한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가쓰카와 토시오 도쿄해양대학 교수는 "일본 근해의 어획량은 2050년경에는 거의 제로에 가까울 정도로 급감하고 있는 중”이라며 “향후 수산업은 지속 가능한 어획량으로 제한하고 그 가치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닛케이는 “어획량이 제한되면 어민들의 수입이 줄어드는데, 2023년도 예산에 어업소득안정대책사업으로 어민들의 소득 보장에 580억 엔이 넘는 예산이 책정됐다”라며 “그러나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도 물고기를 늘릴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정책 지원도 '잡는 것'에서 '기르는 것'으로 발상을 전환하지 않으면 산업으로 부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