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경쟁에 판도 변화 예고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AI) 연구 발전을 위한 대대적인 행보에 나섰다.
미 에너지부(DOE)가 최근 ‘과학, 보안, 기술을 위한 AI 분야의 최전선’(FASST, Frontiers in Artificial Intelligence for Science, Security and Technology) 이니셔티브’를 공개했고, 이와 동시에 의회도 초당적 지지를 받는 AI 연구 가속화 법안을 발의했다고 16일(현지시각) 액시오스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조치로 미국 AI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며, 글로벌 AI 기술 경쟁에도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이를 통해 에너지, 국가 안보, 경제 경쟁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미국의 AI 역량을 강화하고, 의료 영상, 유전체학, 전력망 관리, 핵 보안 등 광범위한 영역의 AI 응용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에너지 효율적인 AI 슈퍼컴퓨터 구축 계획이다.
제니퍼 그랜홀름 에너지 장관은 이를 최우선 과제로 언급했는데, 이는 AI 기술 발전에 따른 에너지 소비 급증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이미 DOE는 세계 최고 수준의 슈퍼컴퓨터들을 운영하고 있어, 이 경험과 인프라를 AI 연구에 접목시킬 경우 상당한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이 법안이 시행되면 미국의 AI 기술 발전 속도는 크게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존 연구 인프라를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시설 구축 없이 신속하게 연구를 진행할 수 있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AI 개발에 참여하게 되어 학제간 협력이 강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초당적 지지를 받는 법안인 만큼 정부 지원과 투자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국립연구소를 중심으로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간의 협력도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AI 기술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과학 발전과 국가 안보를 강화하려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특히 중국, EU 등 주요 경쟁국들과의 AI 기술 격차를 더욱 벌리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는 글로벌 AI 생태계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미국 내 AI 연구 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되면서 전 세계의 우수한 AI 인재들이 미국으로 더욱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AI 분야에서의 ‘두뇌 유출’ 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또한, 미국 기업들의 AI 기술 경쟁력이 강화되면서 글로벌 AI 시장에서의 미국 기업들의 지배력이 더욱 공고해질 전망이다.
반면, 미국의 급속한 AI 기술 발전에 따른 윤리적, 사회적 문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개인정보 보호 문제, AI로 인한 일자리 대체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대비책 마련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편, 다른 국가들 입장에서는 이러한 미국의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자체적인 AI 전략 수립이 시급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AI 인재 육성과 유치, 연구 인프라 확충, 산학연 협력 강화 등의 정책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리의 경우도 AI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 구체적으로 AI 특화 연구소 설립, 산학연 협력 강화,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 확대 등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선진 AI 기술을 확보하는 동시에, 독자적인 AI 생태계 구축을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리 강점인 반도체, 5G 등 ICT 인프라와 AI 기술의 융합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이 요구된다.
결국, 이번 미국의 AI 연구 가속화 법안은 글로벌 AI 기술 경쟁의 새로운 장을 열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엔비디아의 GPU를 구매해 AI 기반을 구축하는 단계를 넘어, 이를 활용하는 단계로 급속하게 진행될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미국의 AI 주도권 강화는 불가피해 보이며, 이에 따른 국제 사회 대응과 협력 방안 모색이 향후 주요 과제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