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백악관에 다시 입성한 이후 경제 정책을 둘러싼 혼란이 지속되면서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경제 정책 변화가 급격하게 이뤄지면서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일부 업계에서는 관세 부담 증가로 인한 대응책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타임스(NYT)는 "2기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 후 몇 주 동안 관세 정책을 둘러싼 혼란을 지속하며 기업들의 경영 계획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관세 정책 혼란…기업들 “예측 불가”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관세 및 경제 정책을 빠르게 손질하고 있다. 정부 지출 동결이 발표됐다 철회됐고 일부 연방 기관은 일시적으로 운영 중단되는 등 혼란이 이어졌다.
특히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정책이 발표됐다 번복되는 등 예측하기 어려운 정책 변동이 기업들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스냅온의 니콜라스 핀척 최고경영자(CEO)는 "지금 워싱턴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짐 팔리 포드자동차 CEO는 최근 뉴욕에서 열린 투자자 행사에서 "현재 기업들이 겪는 것은 비용 증가와 혼란"이라며 "정책 방향이 계속 바뀌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 큰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기업들은 정책이 빠르게 변하면서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어렵다고 토로하고 있다. 미국독립기업연맹(NFIB)의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신뢰 지수는 지난달 들어 소폭 하락했지만 여전히 1기 트럼프 행정부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경제학자들 “불확실성 자체가 경제에 부담”
경제학자들은 정책의 변화보다 ‘불확실성’이 더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니콜라스 블룸 스탠퍼드대 교수는 "정책이 확정되면 기업들은 적응할 수 있지만 지금처럼 매일 정책이 바뀌면 기업이 움직이기 어려워진다"고 밝혔다.
실제로 미국 내 일부 기업들은 관세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해외 생산 기지를 고려하고 있다. 뉴저지에 본사를 둔 가방 브랜드 보그백의 킴 바카렐라 CEO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신규 관세가 부과되면 가방당 원가가 2.50달러(약 3600원) 증가한다"며 "최근 스리랑카와 베트남을 방문해 생산 이전 가능성을 검토했지만 정책이 너무 자주 바뀌어 결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경제정책 불확실성지수(EPU)도 급등했다. 이 지수는 보통 경기 침체나 글로벌 위기 국면에 상승하는데 이번에는 정책 변화만으로도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EPU 정부의 경제정책이 불확실할 때 기업과 소비자가 느끼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한 지표로 기업 투자, 소비자 지출, 금융시장 변동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기업들, 관세 회피 위한 선제 대응 나서
일부 기업들은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자동차 및 공구 제조업체 스냅온은 최근 고가의 공구함과 진단 기기보다는 저렴한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핀척 CEO는 "고객들이 장기 할부로 구매하는 대신 단기 결제가 가능한 저렴한 제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업들은 관세가 본격 적용되기 전에 재고를 늘리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말 미국 내 수입량이 급증한 것은 기업들이 관세를 피하기 위해 사전 조치를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NYT는 "이 기업들의 선제 대응은 불확실성 자체가 ‘경제적 비용’으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기업들은 정책이 바뀔 것을 대비해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경제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 심리에도 영향
기업뿐 아니라 소비자들도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출을 보류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NFIB의 제프 브라반트 정책 담당자는 "현재는 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있지만 올해 말까지 정책이 명확해지지 않으면 소비자와 기업 모두 불안감을 가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미국 내 소비자 심리는 대선 직후 상승했다 최근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당 체인 ‘비스킷 벨리’의 채드 콜터 CEO는 "소비자들이 불확실성이 클 때 지출을 줄이려는 경향이 있다"며 "최근 뉴스가 계속 바뀌면서 소비자들도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NTY는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이 향후 몇 개월 동안 어떻게 정리될지에 따라 기업과 소비자들의 반응이 달라질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장기화되면 투자와 소비 위축이 본격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